모성 - 죽을 만큼, 죽일 만큼 서로를 사랑했던 엄마와 딸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진환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성의 어원을 들여다보면 어머니로써의 자질과 경험이라는 말이 나온다.

물론 애가 빠졌지만 우리가 인식하는 모성은 하해와 같이 행하는 절대적인 사랑을 떠올린다. 왜냐면 의도했던 의도치 않았던 자신의 몸을 통해 태어나고 자신의 피가 이어진 생명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엄마는 이유, 조건 없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쳐 태어난 생명을 돌보고 키운다. 하지만 아이의 입장에서 의구심이 들 때가 있다. 아이는 자신의 운명을 이해한 상태에서 태어나는 것인지, 스스로 자신이 원해서 삶을 선택한 것인지. 만약 아니라면 아이는 장래에 어떤 선택을 거듭하는지 말이다.

 소설의 시작은 엄마가 목사에게 하는 회개로부터 시작한다.

정말 애지중지해서 딸을 키웠습니다.’ ‘왜 그러셨지요…?’ 행위의 이유를 물으면 사람들은 나쁜짓이나 일을 할 때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엄마는 생각한다. 본능이라서. 모성이라서. 그런데 아니 생각해보니 자신의 어머니가 그랬던것처럼 바램처럼 기대에 배신하지 않고 어머니의 의지대로 살아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강요한 것 아닌가 의문을 가져본다. 모성에 대해.

잘 해왔다는 기대감에 충만하려고 모든 것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살아왔다. 크게 마음이 가지 않지만 좋은 남자라 믿어 결혼하고 무뚝뚝하지만 긍정적인 모습만 찾으려 하고. 그러다 아이가 태어나 자신도 어머니와 같은 모습으로 아이에게 사랑을 베풀려 한다. 자신보다 더 똑부러지게 대처하는 아이를 보며 행복한 삶이구나 믿어 왔다. 하지만 남편의 외근과 태풍의 두려움에 어머니와 같이 있어주길 부탁하게 되고 산사태에 어머니가 돌아가시게 된다. 딸만 구출하여 나오게 되고 어머니의 슬픔도 추스릴 시간도 없이 시댁에 들어가게 되며 시어머니의 구박이 시작된다. 출가했던 시누이들도 돌아오게 되고 시집살이는 힘들어졌으며 혼란의 한 복판에 홀로선 주인공은 거듭 자살을 결심하게 된다. 하지만 자신의 받은 모정을 아이에게, 외할머니의 죽음으로부터 이어진 삶을 아이에게 모두 베푸려 결심하고 살아간다. 하지만 아이는 변해가기 시작하는데 어느 날 외할머니 죽음의 진실을 알고 아이는 자살을 시도하게 된다. 그 자살속엔 첨예한 가족관의 삐뚫어진 이해와 모성, 요청과 강요가 서로에게 전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랑이란 건 이기심과 이기심의 충돌이 아닐까? (p.234)

나를 칭찬하고 존재를 인정해주는 사람은 없다. 그렇다면 나는 왜 여기에 있는 것일까? (p.242)

 평범하지만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소재를 가치관, 사랑의 이해, 가족관의 유대를 말하면서 몰락하는 한 가정을 말하고 있다. 결말은 무던한데 소재가 주는 파동은 잔잔하지만 깊은 생각을 갖게 한다. 받는 모성과 주는 모성, 서로 간의 사랑의 이해와 방식은 틀린 것일까. 얼마나 사람은 이기적인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