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국지 기행 1 - 길 위에서 읽는 삼국지, 개정증보판 ㅣ 삼국지 기행 1
허우범 지음 / 책문 / 2023년 5월
평점 :
안 읽어본 사람이 없고 한 번만 읽어보지도
않은 책 삼국지.
누구나 그 광대한 서사시 같은 이야기를 접하고 나면 설레임으로 부풀어 오르고 인생이 녹아 있는 고전을 접함으로
흥분되는 마음을 접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럼 그 역사적 서사시가 벌어진 중국에서 삼국지 영웅에 대한
미담은 어떠하고 그들은 어떤 존재로 마음속에 남아 있는 것일까. 저자는 책으로 전해오는 삼국지역사를
넘어 중국본토 역사적 현장에서 삼국지는 어떤 현실로 남아 있는지 중화민족이란 사람들에게 어떤 의미가 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우리가 몰랐던 ‘삼국지연의’의
허와 실이 어떻게 미화되었는지 역사적 현장에 어떤 구전으로 전해 내려오는지 사실고증과 민족성을 대변하는 상징물,
유물을 통해 삼국지를 의미를 재조명 해 본다
책은 1세기의 사실을 조명하고 기행을 통해 다룬 만큼 그 자료나 양이 방대하여 1,
2권으로 나누어져 있다. 1권은 창천이사, 황천당립, 한의 제국이 그 하늘을 고할 때 황건적의 난으로부터 시작하여 유비의 형주 점령과 오나라 손권의 동생 손상향이
시집오기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초반에는 많은 영웅이 궐기하는 난세를 고증하는데 적벽대전과 같은
싸움으로 이어지므로 가히 삼국지클라이막스에 가까운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초판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을 담기 위해 10년만에 중국으로 향했다고 한다. 얼마
안되는 시간이지만 사람들의 영웅에 대한 인식은 바뀌고 상당수의 유적들은 복원이 되어 가는중 이었다고 한다. 우리가
삼국지를 이미지화 하면 탁현 누상촌 뽕나무 아래서 유비, 관우, 장비의
도원결의를 잊을 수 없다. 문화혁명기에 부서진 이곳을 탁주시에서 복원을 하였고 인물의 상징적인 모습을
민족성에 부합하고자 관련 유물들을 많이 만들어 놓았다고 한다. 하지만 저자는 혼탁한 정치, 환관들에 의해 아포칼립스와 같은 시대에 민중의 시대정의를 말하면 대의와 같이 뭉친 유협이라고 한다. 결사와 같이 소수 의인들에 의해 봉기, 결사와 같은 우예와 충의는
민중에게 마음의 위안을 주었고 형제와 이상적인 유교정권의 형상화 였다고 한다. <삼국지연의>저자 나관중은 사람들의 마음에 깊이 각인시키고 민족성을 갈무리하고 싶어 미화 시킨 것이 ‘도원결의’라고 한다. 나관중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썼지만 상당히 인물에 대한 예찬과 중화민족이 중요시하는 요소들을 넣어 영웅화 시켜 민족성 고찰에 삼국지의 방향성을 만들었다
한다. 저자는 기행을 통해 사람들의 인식을 엿보고 숭배와 같은 그들의 모습에서 삼국지의 진실된 편린을
알아간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