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 그리고 리더십 - 개인과 조직을 이끄는 균형의 힘
김윤태 지음 / 성안당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왕조 500.

외세의 침략과 나라안밖에 기근도 있었지만 우리나라역사에서 가장 오랜 세월동안 나라의 기틀을 유지해왔다. 이는 관료와 사대부, 백성이 협심해서 나아간것도 있지만 어려운 환경의 시대적상황에서 왕들의 확고한 목표와 지향성, 힘을 견제하는 균형이 있는 다스림이 있어서였다. 조선왕 27명 중 9명의 성군의 다스림에서 다른 가치관과 소신있는 정치로 시대를 어떻게 이끌어왔는지, 오늘날 다각도로 난해한 국가상황속에 리더는 어떤 목표와 행동으로 나아가고 행동할 어떤 가르침을 주는지 그들의 리더십을 통해 살펴 보려한다.

 

태조는 나라를 기틀을 세워 확고한 리더십의 이행자로 간주 해야하나 후사의 선택에 명분을 무시하고 정도전의 민본주의로 왕권을 약화시킬뻔 했다. 반면 태종은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냉정함을 보이긴 했지만 실리를 추구하고 왕권강화를 위해 과감한 결정을 하였다. 자신이 집권하는데 많은 피를 보았지만 후계의 위협을 물리치고 조선의 기틀을 마련하며 수성하는데 가장 큰 공헌을 한 행동하는 리더였다.

세종은 인재 양성과 민족의 숙원, 한글의 보급을 위해 신하에게 충분한 권한을 주고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주었다. 나라의 치국을 위해 무기개발과 문화강국, 애민을 실천하는 지식형리더인 동시에 소통과 위임, 신하의 의견을 골고루 경청하고 토론을 통해 국가대사를 실천하는 소통, 위임형 리더였다.

세조는 조선과 왕권강화를 위해 잔인했지만 군신사이의 확고함을 정리하는 리더였고 성종은 신하들의 직언이 강건해도 수용했던 관대한 리더였다. 선조는 인재를 알아보는 능력은 탁월했지만 자신만을 바라본 이기적인 리더로 포용력이 없는 리더로 공동체 번영을 위해선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고 말한다. 역사가 왜곡하는 광해군은 주변상황을 현실적으로 바라보고 나라의 존망을 위해 실리 스탠스를 취하는 리더였다. 하지만 변화하지 않아 결속력을 흩뜨리고 인조반정이 일어나 외세에 굴욕적인 상황을 초래한만큼 환경이 아닌 역할과 책임에 다해야 한다는 리더의 비젼을 제시한다. 영조는 검소함과 예의바름 무엇보다 국민을 생각하는 애민 군주였다. 세력에 굴복하지 않고 손자 정조를 선택한 것은 그가 소통과 선택의 리더였음을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정조는 최고권력의 자리에 있었지만 권력에 의존하지 않고 조화를 이루었으며 자신을 낮추고 모범으로 행동하는 군주였다. 백성을 위하는 일이라면 기득권과의 반발에도 맞섰으며 조선의 개혁을 이끌었다. 세종이 조선 최고 전성기를 이끌었다면 정조는 조선 후기 르네상스를 이끌었던 성군이었다.

 

지금의 나라는 진정 국민을 위해 일한다지만 민생은 뒷전이고 당리당략을 위한 정치만이 난무하는 현실이다. 혼란의 정세속에 국가의 영속을 위해 과거의 조선처럼 국민의 눈높이에 맞게 소통하고 국민의 삶에 가치를 두는 국가 리더와 정치인들이 많이 나왔으면 희망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