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유근표 지음 / 북루덴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는 강자의 입장에서 기록되고 그들의 행동은 정당화 된다.

우리나라에서 광해군을 돌아보면 나라 안팎의 대외적인 외교를 처리해 나라의 안녕을 기원한 왕으로 남기보다 역사의 폭군, 무리한 치정을 일삼은 인물로 남아있다. 하지만 그는 중립외교로 후금의 침략을 막고 나라의 미래, 안정을 기원했다. 후금이 위세를 잡기전에 강홍립장군에게 지원군을 주며 명나라를 도우는 척하며 항복하라 하였고 훗날 떠오르는 금에게 우호적인 포지션을 취했다. 하지만 배다른 동생 영창대군을 유배, 죽음에 이르게 하여 반대파에게 빌미를 주어 인조가 왕위에 올랐다. 인조는 쇠퇴해가는 명나라지만 오랑캐가 아니라는 명분에 친명배금을 취하게 되었고 중국을 일통하는 후금에 침략을 받게 한다. 몰래 지원군을 보내 명나라를 도와 후금의 분노를 사게 되었고 이는 병자호란으로 이어지게 된다. 청나라(후금)을 피해 남한산성에서 45일간 항전하게 되나 왕족들이 볼모로 잡혀 인조는 항복에 이르게 된다. 이는 훗 날 삼전도의 굴욕이라 불리며 청 태종을 찾아가 항복의 표시로 상복을 입고 3번 큰절을 하고 9번 땅바닥에 머리를 꽝꽝 받아 사죄하여 절하는 소리가 단상까지 들리게 하는 표시였다. 이로 인조는 청의 신하가 되었고 엄청난 배상금과 더불어 소현세자, 봉림대군, 척하파 신하들, 20만명의 백성을 청에 인질로 보내게 된다. 백성은 청에서 노예와 같이 일하게 되었고 여자는 노리개로, 돌아온 사람을 화냥녀라고 부른다. 이 어원이 화냥년의 시초이다.

 

얼마전 영화 올빼미란 영화가 역사적 의구심을 바탕으로 제작, 개봉되었다. 임금의 권력 이면의 더러움과 세습의 부조리한 암투를 밝힌 영화로 사도세자 이후의 비극적이 역사의 이야기였다. 조선 16대 임금 인조는 소현세자를 볼모로 청나라에 보냈는데 8년만에 청의 호의와 기세를 업고 돌아온 사도세자는 돌아오자 마자 학질에 걸려 사망하였다. 이목구비 일곱구멍에서 피를 흘린 소현세자는 주맹증의 침술사(류준열)에 의해 세자의 죽음이 목격, 증명하지만 묵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우리는 여기서 인조라는 인물에 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 그는 백성을 생각한 성군이었나 우유부단하고 결단 못 하는 인물로 실리보단 명분만 세우는 임금이 아니였나. 그가 생각을 달리하고 청과 우호적인 제스쳐를 취하며 문물 수용에 적극적이었다면 우리나라의 역사는 진일보 했을것이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권력에 집착하여 자식의 죽음과 사후에도 세자빈에게 집요한 죽음을 강요하고 손자마저 죽음에 이르게 했다. 지금의 이 시대에도 실리보다 명분에 치우쳐 나라와 국가의 안위보다 정당화에 점철되어 제 2의 병자호란, 경제적 안보적 위기를 가져오는 것 아닌지 이 나라의 주권을 행사는 국민에게 당신들의 선택은 올바르었나 본 도서는 경종을 고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