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리치보다 해피리치를 꿈꿔라
한지우 지음 / 미디어숲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돈은 중요하지만 돈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불안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현실에 모든 사람들은 부자가 되길 소망한다. 먹을 걱정 안하고 집이 있어야 안락하게 보낼수 있으며 닥칠지 모르는 불행한 상황에 대비하여 사람들은 많은 돈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럼 돈은 인생의 행복을 위한 필수조건일까? 반은 맞고 반은 틀리듯 필요조건은 되지만 반드시 필요충분조건은 아니다.

 

모두들 부자를 넘어 슈퍼리치가 되길 소망한다. 그리고 소망을 이루지 못하면 나의 불안함과 두려움을 전가시키지 않기 위하여 아이들에게 슈퍼리치가 되라고 교육한다. 언제부턴가 아이들은 목적의식 없는 부로 이르는 명예와 쉬운길만을 추구하게 되었고 소망하는 꿈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유튜버라고 대답하는게 현실이다. 이런 물질만능 시대를 대변하듯 목적없는 청소년들에게는 플렉스, 파이어족, 욜로라는 단어들이 유행이다. 근데 진정한 부자들은 앞의 단어와 같은 삶을 보내는 것일까? 저자는 성격에 맞는 부자유형을 제시하면서 부를 이룬 사람들의 삶에 대해서도 말하고 있다. 플렉스, 욜로는 부자와 더욱 멀어지게하는 사회적 상술의 한 편린이라 하고 원하는 일을 하면서 살고 싶어하는 파이어족은 다시금 직장으로 회기하는게 현실이라고 한다. 저자는 사람들이 오해하듯 맹목적의 슈퍼리치가 되면 행복만이 충만할 것 같지만 공허함과 우울증만이 더한다고 한다. 타인의 기준과 시선을 의식해 정해진 목표의 부자로 이르는 결과에만 치중하게 하므로 과정을 중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신이 그 과정에서 몰입과 같은 즐거움을 느껴야 행복으로 이어져 소정의 성취후에도 지속할수 원동력이 되어 행복의 선순환으로 이어진다고 한다. 그래서 이런 슈퍼리치보다 해피리치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해피마인드, 돈으로 살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구분하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한다. 건강, 행복, 사랑은 돈으로 살수 없는 지속적인 관리와 노력이 필요한 것을 인식하고 행복한 삶의 핵심인 자유, 경험, 시간과 가치있는 일에 소비를 해야 한다고 한다. 그래야 행복의 중요한 도구로 돈을 인식하고 돈을 깊게 탐구하고 더 나은 나를 위해 부를 축적하여 행복해 진다고 한다.

 

행복의 비결은 더 많은 것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더 적은 것으로 행복해지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 소크라테스 -

 

편향된 목적과 가치추구에 나에게 일침을 하는 것 같았지만 부자의 그릇 형태를 형성하는 아이들에 권고하듯 돈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으로 쉬운 이해를 돋구고 있다. 아이들의 가치관과 경제적소양에 도움이 되어 행복한 부자라고 쓸 필요없이 부자라는 단어속에 행복이 동일시되듯 마인드의 아이로 자라나길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