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논어를 만나 행복해졌다 - 나로 살아가기 위한 든든한 인생 주춧돌, 논어 한마디
판덩 지음, 이서연 옮김 / 미디어숲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들은 경제, 건강,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하루하루를 초조하게 보내고 있다.

급변하는 세상에 불확실한 요소들이 일상을 혼란스럽기만 만들어서 그런것인데 이럴 때 일수록 우리는 삶을 바라보는 관점에 기본과 원칙을 세워야 한다. 왜냐면 자기 자신을 바로 세울수 있는 기본이 있어 삶의 풍파에도 흔들리지 않고 원칙을 고수하며 나아갈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시대 불문의 명언록의 고전, 논어를 통해 그 길을 갈구하지 않나 싶다.

 

논어는 공자 사후의 명언록이지만 시대와 사람에 따라 해석을 달리 한다. 창작과 같은 자신만의 해석은 고리타분한 죽은자의 글이 될수 있게도 하고 마음을 울리는 감동으로 다가 올수 있다. 저자는 독서회를 통해 다각적으로 논어를 해석, 의미 해보며 다양한 논어관련 도서를 출판했다. 이런 다양한 해석속에 <나는 논어를 만나 행복해졌다> 편은 방황스런 삶의 기로에서 논어만이 살리는 삶으로 나아가게 해주는 기본에서 시작한다.

 

아욕인 사인지의( 我欲仁, 斯仁至矣 )

공자 왈 仁遠乎哉(인원호재)我欲仁(아욕인)이면 斯仁至矣(사인지의)니라.

 

맹자는 도란 본래의 선한 본성에 따라 나가는 것이라 했고

공자는 인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인하고자 하면 인이 된다 했다.

인은 동떨어진 것이 아닌 내적 자발성을 가지 것이라 주장하는 하는데

도와 인, 다른 듯 보이는 이 두 주장은 자신 내면의 가치를 발현해 나가는 것에서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어짊이 어려운 이유는 우리가 내재적 가치에 집중하는게 아닌 무언가 해야 한다는 의무감과 압박감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행위의 본질이 아닌 보여지는 기준에 의한 결과를 요구하는데 저자는 무언가 의식하면서 하기보단 어렵지 않은 편안함을 유지하는 것이 지속적인 어짊의 실현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 어렵지 않은 부모 자식의 사랑과 같은 본연의 감정으로부터 시작한다면 인은 쉬울것이고 그것이 어렵다더라도 마음속에 간직하며 노력하는 자세하나만으로 본인은 더욱 성숙해질수 있을 것이다.

 

멈추지 않는다면 얼마나 천천히 가는지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논어

 

논어는 공자의 생전의 말들을 기록하여 꾸밈없고 진솔한만큼 형식에 매이지 않고 딱딱하지 않는 일상의 대화와 같다. 일상을 이야기하는 주석과 같이 현실에서 유하게 물 흐르듯 쉽게 지혜를 익히고 일상에서 논어의 논리가 통용되듯 실천한다면 불확실성의 미래에 두려워하는 우리는 그 어떤 상황이 와도 자신의 중심을 바로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