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F, 시대정신이 되다 - 낯선 세계를 상상하고 현실의 답을 찾는 문학의 힘 ㅣ 서가명강 시리즈 27
이동신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11월
평점 :
SF.
공상과학으로 현실에서 일어날 사실성은 떨어지지만 상상으로 무한한 미래를 보여주고 있다.
비현실적인 허구의 미래지만 그 중심에는 언제나 인간이 있다. 그 세계를 창조하고 멸망시키것또한 인간이기에. 반대로 이 명제를 뒤짚어 보면 SF로 우리의 세상에 확장되는 시간과 공간을 통해 인간의 미래를 예측하고 좋은 방향으로 그려나갈 수도 있다.
책은 소설, 영화등을 통해 SF계보를 둘러보고 흥미라는 라인에서 과학과 인간, 존재의 가치와 영역, 시간대를 이야기하며 늘 이야기 중심에는 인간이 있지만 포스트휴머니즘 (인간 중심의 휴머니즘을 부정하거나 초월)의 틀에서 SF를 말하고 있다.
<시간>. 우리는 타임머신과 같은 영화들을 통해 과학기술이 발달되면 일정 규칙하에 통제 가능한 것이 시간이라 여겨왔다. 하지만 다중적 시간관을 가진 영화를 통해 가치관은 확대되었고 다중평행우주 멀티버스와 같은 말에 다중적 시간관을 알게 되었다. 이처럼 SF는 우리가 존재하는 단선적 시간관을 넘어 멀티버스에 까지 이르는 다양한 세계관의 확대로 문명의 이해와 실존가능한 세계를 말하고 있다. 우리가 세계를 만들어 나가는 입장에서 자기반영적인 질문을 해보기도 하고 미래로 이끌어나가는 주체자와 같은 우리는 이해와 목적에 따라 유토피아도 디스토피아도 만들수 있다고 암시한다. 철학적 선택과 불투명한 미래를 말하는 SF, 그 적용은 시간을 넘어 공간 사이버 스페이스등 다양한 소설과 작품들을 통해서도 인식할수 있고 우리는 SF를 단순 흥미 위주의 오락거리를 넘어 가치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저자는 이야기 한다. 그래서 사실에서 가치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사변(깊이 있게 생각하여 도리와 시비를 분별하는 것)적인 접근이 필요하고 그 가치를 철학적으로 접할수 있는 것이 SF라고 한다.
80년 전에 쓰여진 <플랫 랜드>. 아인슈타인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개념이 알려지기전 쓰여졌다하는데 2차원과 3차원의 간극을 이해하는 내용을 그리고 있다. 자신이 보는 세상이 전부라 믿는 주인공이 자신의 소신을 지키면서 살아가게 되는 내용의 소설을 저자는 사변 소설의 대표작이라 하며 SF가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말한다. 우리가 인식하지 못했던 의식 저변의 상상과 과학, 이제는 SF를 흥미위주의 단순한 공상이라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