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의 치트키
김성공 지음 / 토네이도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를 이루는 것이 인생의 목적은 아니다. 하지만 행복한 삶을 위한 수단은 될 수 있다.

 

부를 갖추면 삶에서 선택할수 있는 다양성이 생긴다. 자신이 원하는 일, 하고 싶었던 일, 여가생활, 자기계발등과 같은 생계가 목적이 아닌 다양한 삶을 선택할수 있고 이로 인해 행복이란 감정을 느낄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젊은 나이에 부를 갖추기 위해서는 고정적인 소득에 아끼고 사는 재테크의 삶도 좋지만 현실적으로 이루어줄 창업을 하루 빨리 해야 한다.

 

창업형 인간은 2가지로 정의 할 수 있다.

 

첫째, 반복적인 실험을 할수 있는 사람이다. 창업이란 소비자에게 무언가를 제공하고 그 일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으로 창업 자체가 인생의 큰 이벤트가 아닌 일상적인 것이 되어야 한다.

둘째, 회사나 소속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소득 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개인대 개인 회사대 회사가 아닌 불특정 다수에게 가치를 만들고 대가를 제공하고 소득을 올릴 수 있어야 한다.

 

성공한 창업가의 특징을 보면 그들의 세계관과 관점에서 엿볼수 있다. 그래서 환경의 변화를 시켜 세계관을 확장시키라고 한다. 예를 들어 자신옆을 돌아보면 비슷한 생각과 가치관을 가진이들이 주를 이루어 자신의 성장에 도전적인 조언이나 긍정 피드백을 하지 않는다. 자신이 원하는 분야, 성공한 사람들에게 무보수로 일을 해주고 배우거나 받는것보다 주는것에 익숙한 성공 기버와 같은 멘토를 찾아야 한다. 방법은 원하는 성공분야에 있는 사람에게 꾸준히 자신을 어필하며 관계를 만들어나가야 한다. 이것은 우리가 원하는 분야에 식견을 넓히는 일이고 바로 다양한 세계관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저자가 이야기 하는 창업의 필승 공식이 있다. 1단계, 가설을 세운다. (생활속에 사소한 것이라도 불편함과 수요가 있는 분야를 찾아낸다.) 2단계, 구현 기술과 실행력을 이용해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포장한다. (어떤 아이디어가 떠오른다면 간단하지만 일목요연하게 볼수 있는 사이트나 계획물을 만들어라) 3단계, 포장지지만 미리 팔아본다. (갖춰진 구색으로 어필을 하고 사람들의 반응 수요를 예측하라) 4단계, 1-3단계를 꾸준히 반복한다. (모델링을 반복하고 성공했다면 본격적으로 자원을 투자하여 상품을 고도화 한다.) 저자는 한강의 텐트와 돗자리가 렌트되는 것을 보고 홈페이지를 개설 시간과 장소별로 예약을 받아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람들의 불편을 줄이고 확장을 거듭했다. 대전에서 학원을 운영했지만 코딩이 주과목으로 떠오르는 것을 보고 대치동의 코딩수업을 표방, 사무실도 없이 자료와 커리큘럼을 바탕으로 학원설명회를 개최한다. 부모들의 호응을 얻고 부모 5명의 등록으로 스터디방을 이용 소규모로 시작해 학원으로 키워나간다. 유니콘과 같은 당근앱도 판교장터앱에서 시작하여 바이럴 마케팅을 시도, 판매자, 소비자를 직접확인 연결시켰고 에어비엔비도 집주인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 아웃바운드로 임대했다. 관리, 사진, 인터넷마케팅등 하찮고 비효율적인 일들의 반복으로 인해 오늘날의 유니콘으로 성장한 것이다. 이처럼 창업은 획기적인 아이디어와 자본력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 아닌 생활에서 편리함을 줄 수 있는 모델을 발굴하고 기획하여 실행력으로 무한적인 반복을 통해 성공으로 이끌어 내는 것이다.

 

창업은 거창하고 준비된자, 스펙이 좋은자가 성공하는 것이 아니다. 기획과 실행 두가지의 반복을 통해 꾸준히 시간을 들일 때 이루어지는 것이다. 행복으로 이르기 위한 수단, 성공과 부의 실현을 소소하지만 현실적이면 실천적인 방법이 그 꿈을 이루어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