켄 블랜차드 리더십 수업 - 1주일 1가지, 한 권으로 끝내는
켄 블랜차드.랜디 콘리 지음, 모윤희 옮김 / 서울경제신문사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거에 리더는 전략적으로 사람을 통합하고 이끌어 조직을 이익을 추구하는게 리더십으로 추앙되어 왔다. 하지만 조직 개개인의 개성과 의지가 강해지고 자신의 목소리는 내는 만큼 기존의 리더십으로 성공적인 결과를 낼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리더는 봉사자가 되어 타인을 위한 봉사에 초점을 두고 그들의 필요를 만족 시키며 조직 구성원의 이익을 우선시 하는 리더십이 추앙받기 이른다. 이것을 우리는 서번트 리더십 [Servant Leadership]이라고 한다.

 

기존의 리더십은 섬김을 받으며 리더가 방향성과 목적성을 부여하여 나아가는 것이었다. 하지만 개인화된 사회적 인식속에 자신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으면 사람들은 따르지 않고 조직에 헌신하지 않는다. 그러나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을 섬기는 자세로 성장과 발전을 도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게 된다. 구성원의 통합과 이익이란 가치실현을 하기 위해서 리더는 어떤 자세를 갖추어야 하나 책에서는 서번트 리더십 실행 가능한 전략적 자세를 이야기 한다.

 

조직구성원의 잘했던 일을 칭찬하라. 성과표명과 같은 칭찬으로 조직원의 사기진작을 도모해야 한다. 회사의 비전과 가치를 이해시켜라. 목표에 대한 뚜렷한 인식이 있어야 올바른 방향성으로 나아갈수 있다. 구성원에게 회사는 무엇을 기대하며 어떤 리더는 어떤 뜻을 전하는지 명확하게 설명하여 동기부여와 같은 방법을 공유한다. 겸손과 건강한 자존감의 자세를 보여 구성원에게 자신을 이해시킨다. 구성원에 대한 끊임없는 피드백으로 개개인의 이해를 높이고 긍정적인 감정을 고양시켜야 한다. 리더는 자신의 진정성 표명을 확고히 하여 구성원과 신뢰받는 관계로 거듭나야 한다. 이 과정에서는 리더는 자신의 실수는 인정하고 사과할줄 알아야 하며 불공평이 없이 구성원을 동등하게 대해야 한다. 대화를 통해 구성원과 정보를 공유하며 통제가 아닌 신뢰로 관계를 만들어 가야 한다. 프로젝트에 대한 실패는 구성원으로 몰아서는 안되고 리더가 책입지는 모습을 통해 연대를 공고히 해야한다.

 

변해가는 세상에 지향해야 할 리더십을 이야기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중요시 되는 것은 신뢰인 것같다. 조직은 통제가 아닌 진솔한 신뢰를 바탕으로 그 관계를 진전시키므로 책을 통한 기본적인 실천을 거듭한다면 구성원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바탕으로 조직은 성장할시킬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