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 투쟁 - 청년, 그들의 연대에 홀로 맞서다
정태현 지음 / 열아홉 / 2022년 9월
평점 :
절판





창작의 고통에 시달리는 작가에게 표절이란 과연 어떤 의미로 다가올까. 죽음보다 더한 고통? 자신의 모든 것을 부정당하고 빼앗긴 느낌? 거대 힘을 바탕으로 자신의 권리를 찾지 못하고 그런 만행이 합리화 된다면?

 

오마이 뉴스. 진보 좌파 성향의 대한민국 신문사다. 취지는 학력도 스펙도 중시하는 한국 기자채용사회에서 반기를 들어 오마이 뉴스를 창간한다. 하지만 실상은 기자가 아닌 사람, 네티즌의 시민 기자등이 글을 써서 거짓된 정보와 오류, 주관적 의견만의 기사들이 난무한다. 그 예로 자칭 기자가 스스로 3자인것처럼 기사를 썼는데 그 기자와 3자가 동일임이며 밝혀지고 기사는 사회적 비난을 받는다. 정식 기자도 있지만 열려있는 참여라 정의로운척 하지만 언론사의 디시인사이드라고도 불린다.

 

저자는 한 무명의 작가였다. 자신의 여행을 바탕으로 책을 출간하고 적지 않은 반응에 전업작가로 나서게 된다. 그러나 오마이 뉴스에서 <여행은 결국, 누군가의 하루> 내용을 문단째 배껴 자신의 경험인 것 마냥 내보냈다. 여행의 과정과 경험이 자신의 체험인것처럼 썼고 결론은 자신의 방향과 틀리게 이야기 했다. 분노한 저자는 시민기자라는 K씨에게 이메일로 항의 했고 시민기자는 표절을 인정했으며 사과를 했다. 하지만 기사를 계재한 오마이 뉴스는 유사하다는 말로 사실확인을 한다하였고 기사를 검토한다는 원론적인 구두 사과만 하였다. 하지만 정정될 기미는 없고 시민기자는 오마이 뉴스가 아닌 자신에게 잘못이 있다고 하며 오마이 뉴스는 모른채로 일관한다. 결국 편집기자와 통화를 하지만 그 부문만 덜어내고 기사를 계재했다고 모르쇠로 일관한다. “우린 사과했고 그럼 문제없다고 보는데.” 이렇게 여성 편집기자가 이야기 한다. 기사가 계속 퍼지는 도중에 참을 수 없는 저자는 종로에서 일인시위를 결심하게 된다. 광화문 5번출구 자신의 일이 아니라는 저자를 방관하며 사람들은 저마다의 발걸음 재촉하고 누군가는 길을 묻고 누군가는 자신의 사연을 하소연 한다. 한국의 제도, 기득권의 무관심, 언론의 자유를 표방한 창작가 죽이기 저자는 사회적 현실에 분개하고 눈물 흘리며 140일간의 과정과 에피소드를 담아낸다. 사회적 시선속에 오마이는 그들의 보신을 위해 저자에 대한 사과를 계재해주지만 저자의 의도와 상황을 반영하지 않고 반영하여 했다고 과정만 보여 저자는 다시금 절망하게 만든다.

 

표현의 자유? 소시민들을 보호하고 약자를 구원하기 위한 진실보도? 자신들의 과정은 공정하고 결과는 정의롭다고 한다. 거짓과정으로 사회적 약자를 무시하고 자신들의 편파적인 이익을 위해 목소리 내는 오마이 뉴스. 사람을 죽이는 악과 같은 언론에 언론의 자유라는 말로 모든 것이 정당화 되는지 다시금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