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50 ESG 혁명 - 개별 기업을 넘어 자본시장과 한 국가의 성패를 가를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
강지수 외 지음 / 라온북 / 2022년 6월
평점 :
기업의 본질적인 목적은 이익창출이다. 이를 위해 선행해야 할 요소들을 점검하고 투자전략을 세우며 최대이익을 실현하려 한다. 하지만 글로벌 흐름에 따라 비재무적인 요소 ESG를 간과할수 없게 되었다. 사람들은 자신이 소비하는 소비재에서 가치를 실현 원하기 때문에 상품이 비싸고 아름답거나 우아해도 ESG의 가치에 부합하지 않으면 구매를 하지 않는다. 그래서 ESG는 단순한 경영전략의 선택이 아닌 필수로 인식해야 한다.
기후 이상의 급격한 변화와 팬더믹발로 인해 사람들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원하고 ESG의 가치를 재고하기에 이른다. 특히나 소비를 통해 자신의 가치를 추구하는 MZ세대들의 소비가 비내구성사치재로 옮겨 가고 있는데 친환경적인 소비,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면 비싸도 지갑열기를 망설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업들은 사회적 변화를 인식하고 일하는 방식, 기업 문화, 인재 고용등 다양한면에서 ESG경영을 시도하려고 한다. 여성임원의 고용, 환경을 생각하는 마케팅전략(탈, 제로라는 수식어를 사용), 자원의 재활용 통한 환경적인 기업보여주기등 다양하게 시도하고 있다. 기업뿐만 아니다. 공공기관 또한 전시적인 ESG경영을 도입한다. 공공기관은 공공의 이익을 우선으로 하지만 글로벌화가 필요하고 국민 정서에 부합하지 않을까봐 경영실적 공시시 사회적 가치, 지배구조 투명성, 환경보호등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공시하고 있다. 여러 기관단체들이 ESG에 부합하는 조직을 편성하고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민간부문에서 이사회, 감사를 구성하고 있다. 또 ESG는 투자의 판도도 바꿔 놓고 있다. 가치주, 친환경, 고배당주를 묶어 펀드를 구성하고 있지만 얼마전 부풀려진 사실이 많다며 투자유의를 요하는 뉴스가 있었다. 앞으로 장기적으로 각광받는 ESG가 되겠지만 리스크 관리체계, 지속가능 성장성등 향후 전망을 고려하는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한 곳에 치우치지 않는 ESG혁신은 자본과 국가를 넘어 미래가치를 보여준는 하나의 패러다임으로 굳혀 지고 있다.
사회적 가치로 모든 국가들은 ESG를 정책전략으로 내세우고 기업들도 사회적 변화에 발맞추어 편승하는 추세이다. 미래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ESG에 대한 적극적인 이해와 가치, 전략, 비젼등의 수립으로 전략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