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라는 이상한 이름 - 충돌하는 여성의 정체성에 관하여
멜리사 호겐붐 지음, 허성심 옮김 / 한문화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성의 인생전환점은 결혼 전, 후라고 말을 하는데 그것은 허울좋은 거짓이다. 사회적 인식이 여성은 가정적이며 아이를 낳아 남편을 잘 보필하는게 인생이라 하지만 여자답게 여성스럽게 살아야 한다고 종용한 일종의 가스라이팅이다. 저자는 여성의 인생은 엄마가 되는 과정에서 심적으로 육체적으로 많은 변화를 느끼게 된다고 한다. 자신은 이름을 가진 한 여자가 아닌 누군가의 엄마로 불려하고 유아휴직이라는 보편적인 권리를 주장하면 사회에서 도태되는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당연하게 생각했던 편견과 고정관념, 사회적 인식의 모순, 남성중심적사회의 불합리 저자는 누군가의 자식으로 아니면 태어날 아이의 엄마로 관념을 바꾸기 위해 엄마라는 주홍글씨를 지니고 사는 여성들과 올바른 가족관계의 구성을 이야기 하고 있다.

 

결혼을 하고 아이를 가지면 행복이 배가 될것라고 사람들은 강요하고 믿고 있다. 하지만 사실일까. 조사에 의하면 아이를 가질수록 행복지수는 떨어진다고 한다. 부부사이의 관계, 가사업무의 부담, 육아의 전담, 금전적인 부담등 상대적으로 행복지수가 떨어지는데 공교롭게도 자식을 출가 시키면 다시 행복지수가 올라간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은 남자의 입장에서 봤을 때 일뿐 엄마의 입장에서 정체성 혼란에 인지능력 저하, 아이를 보살피지 못한다는 죄책감, 경력단절에 의한 불평등의 사회구조, 남편과의 육아분담, 배변과 수면등 일상이 180도 바뀐다. 제일 심각한 모순은 육아로 인한 번아웃이다. 신체적, 정신적으로 에너지가 고갈하면 육아에 대한 만족감도 느끼지 못하면서 아이를 방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한 과도한 번아웃으로 인해 자살의 충동을 느낀다고 한다. 그래서 새로 엄마가 된 여성들 중에 자살이 많은 것은 번아웃으로 인해서이다. 그럼 엄마란 이름으로 내몰린 여성들을 위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당연히 평등하다는 시선에서 보지 말고 자신이 자라온 과정을 바탕으로 역할론을 주어서는 안 될 것이다. 과거처럼 집중육아 방식으로 아이를 육아를 하면 육아의 바탕이 경제능력에 영향을 받는 것처럼 아이도 사회계급 구분하는 기준이 되므로 자유롭게 적절한 인지적 자극을 주는 놀이로 아이를 양육해야 한다. 이 모든 것은 나혼자가 아닌 사회적 차원에서 계몽하고 인식해야 하며 끊임없는 변화를 위해 제기하고 왜 그런지 끊임없는 물음을 구해야 할 것이다.

 

생의 첫 육아이지만 주변 과정을 통해 당연한 듯 여겨 여성의 자존감과 정체성, 육체의 변화를 자세히 보듬지 못한 것 같다. 엄마라는 이름의 여성은 강한게 아니라 자식을 위한 일환 일뿐 보다듬고 의식하며 이해하여 서로 지탱하며 나아갈 존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