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이 몰랐던 MBTI - 나와 너로 우리를 그리는 법 ㅣ 북저널리즘 (Book Journalism) 76
김재형 지음 / 스리체어스 / 2022년 6월
평점 :
사람은 서로 소통하며 살며 무리속에서 행복을 추구하며 산다.
이 때 자기이해가 필요한데 장점을 파악하고 만족감을 더해 소통을 원활히 해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기이해 심리도구인 MBTI의 의미가 퇴색하여 타인을 평가하는 기준의 잣대가 되고 있다. 꼴찌일 것 같은 MBTI, 짜증나는 MBTI, 성질나쁠 것 같은 MBTI등 ‘나’가 아닌 ‘너’의 파악이 기준이 되고 있다. 물론 재미삼이 SNS에서 파생된것도 있지만 특정유형의 타인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기에 그 이해의 과정이 잘못되어 있다. 모든 심리검사는 병리적인 진단이나 특정 취약한 부분을 파악하고 이해할려고 하는것이므로 대상과 특징자가 구분되어 있다. MBTI는 특정행동의 유형자 구분을 통해 행동과 패턴에 대해 예상하는 것이므로 정확하고 세세하게 맞추고 규정짓는 절대적인 진리는 아니다.
MBTI는 마이어스와 브릭스가 칼 융의 심리유형론에 따라 고안한 자기 성격 유형 검사이다.
선천적 선호 경향성의 MBTI는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난 성격에 어느 쪽을 더 좋아하고 방향성있게 행동하는지 경향에 따라 16가지로 성격을 구분하는 것이다. 경향성에 따라 태도의 유형을 구분하는데 대립적인 내향성과 외향성으로 구분하는데 정신적에너지 인식과 판단 가능성에 따라 직관, 감각, 사고, 감정 4가지로 나누어 진다. 개인마다 태도와 인식, 판단의 기능에서 선호하는 방식의 차이에 따라 4가지 선호 지표로 규정해 보는데 감각-직관(S-N)의 지표, 외향-내향(E-1), 사고-감정(T-F), 판단-인식(J-P) 이 양식들을 조합하여 16가지로 성격 유형을 설명하여 특성과 행동 관계의 이해를 도와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ISTP 과묵하고 분석적, 적응력이 강하다. ISFP 온화하고 겸손하며 삶의 여유를 즐긴다. 이렇듯 심리파악으로 영문약자를 만들어 성격을 이야기하고 비슷한 행동의 유형군의 경향성을 이야기 하는 것이 MBTI다.
하지만 무슨 유형군 접근 금지, 무슨 유형군 출입금지등 이질감 느끼게 MBTI를 표기하는데 개인을 이해하고 가치를 존중받기 위한 MBTI가 소셜네트워크나 잘못된 인식으로 집단속에서 왜곡되게 사용되고 있다. 개인적 존중의 문화가 타인을 비방하고 흠집내려는 이기적인 문화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깊은 이해와 상호존중의 도구로 MBTI가 사용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