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진화는 구운 열매에서 시작되었다 - 700만 년의 역사가 알려주는 궁극의 식사
NHK 스페셜 <식의 기원> 취재팀 지음, 조윤주 옮김 / 필름(Feelm)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살기 위해 먹는 걸까, 먹기 위해 사는 걸까. 과거와 틀리게 지금에 와서 묻는다면 미식과 쾌락의 식문화에 빠져 먹기 위해 사는 것을 고를 것이다. 하지만 자극적으로 입에 달라붙고 처음 접하는 고급 식재료를 많이 먹으면 건강을 저해하는 식사로 먹기 위해 사는것이라 말에 모순이 될 것이다. 그럼 진정하게 오래동안 건강한 상태로 이상적인 식문화 즐기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아마도 잘못된 식문화의 이해 고쳐 이상적인 식사에서 비롯 될 것이다.

 

우리는 건강을 지킨다며 잘못된 이해로 몸의 밸런스를 나쁘게 만들고 중독과 같은 음식에 대한 관념을 갖고 있다. 본 도서에서는 5가지 그릇된 이해와 상식을 이야기 하는데 살펴보면 그 기원은 인류의 진화로부터 있다. 탄수화물 과연 우리몸에 살을 찌우는 지방만 만드는 해로운 것일까? 한때 고기 먹는 건강다이어트가 유명했다. 영장류였던 우리는 고기를 먹어 뇌가 성장했고 건강함을 유지할수 있었다고 믿었다. 하지만 진실에 반하듯 고대인의 치아엔 녹말이 묻어 발견 되었다. 나무위에서 생활하다 생태환경에 땅으로 내려오고 자연적으로 열매를 먹었으며 자연현상에 구워진 열매를 먹었더니 맛이 더욱 좋아 즐겨 먹었다고 한다. 그래서 가열한 녹말은 포도당으로 흡수되어 호모스 에렉스투스의 뇌를 비약적으로 성장시켰다. 진화에 가까운 이 식습관은 두 다리로 걷게 하고 수렵이 가능했으며 부족한 수렵량에 식문화는 농경문화에 정착 생활을 발달시켰다. 이렇게 건강을 지켜주고 진화를 거듭하게 했던 탄수화물이 몸에 해롭다는 것은 과거의 식문화를 통해 반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문화는 내려져 오는데 라오스의 사람들은 찬이 거의 없이 찹쌀을 손으로 뭉쳐서 두, 세 그릇양의 밥을 한끼에 먹는다. 이들이 건강했던 이유를 의학적으로 찾아보니 프리보텔라균이 장에서 생성되서 그렇다. 밥을 주식으로 하면 단쇄지방산을 생성하고 지방분해를 해주고 동맥경화를 막아 주었기 때문이다. 일본의 식문화도 밥을 주식으로 하는데 살찌는 인슐린 분비를 꼭꼭 천천히 씹어 먹는 문화의 식습관이 과도한 아밀레이스를 분비해서 막어준다. 단맛을 느리게 느낀 뇌는 췌장에 인슐린이 들어온다는 것을 먼저 인식하게되여 혈액속으로 흡수되어 혈당수치를 내리게 하기 때문이다. 이 다이어트는 서구식습관에 길들여진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것이고 상황과 환경에 따라 서로 적응방법이 틀리기에 동양문화권엔 다른 다이어트를 권하는게 맞다. 그 외에도 마약과 같은 소금을 조절하는 법, 뇌 기능을 향상시키는 지방 오메가3의 이해와 올바른 섭취, 습관, 자신에게 맛는 알코올 섭취와 유형별 실천법, 우리가 맛있는 미식을 추구하는 오감부터 식욕 조절법까지 건강과 맛을 챙기는 다채로운 식문화, 올바른 지식을 설명 하고 있다.

 

잘못된 다이어트나 식습관은 오히려 건강을 해치고 식도락의 의미가 변절되어 사람들은 본질에 가까운 미식보다 쾌락을 추구하는게 현재의 우리인 것 같다. 잘못된 지식으로 굴곡된 이해와 습관 과거를 통해 들여다보면 건강한 미래로 즐기는 미식, 건강과 나아갈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