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잘한다는 소리를 들으면 소원이 없겠다 - 따라 하면 발음부터 설득력까지 확 달라지는 5단계 트레이닝
정흥수(흥버튼)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년 시절에는 반강제적으로 하는 웅변이라는게 있었다. 임의적으로 선생님이 학생을 다시켜보고 추천을 해서 대회에 나가는 시스템이었는데 현재에 들어와선 스피치라 불리며 그 맥락을 달리 하고 있다. 과거 웅변은 학원 선생님이 써준글을 액센트와 톤을 조절해서 외워 발표하는 것이었다면 현재는 스토리를 입혀 자신의 생각을 떳떳하게 발화 하는 것이다. 이것은 일상생활, 면접, 발표에 두루 사용되는 것으로 필수라 생각하고 항시 연습을 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이들은 말을 잘하는 방법을 몰라 두려워하고 고민하며 살아간다.

 

스피치는 요령이 있어야 하고 명확한 목적이 있어야 연습으로 갈고 닦을수 있다. 아나운서 13년차이자 스피치 강사인 저자는 5단계의 구분으로 5주만에 말 스킬을 올릴수 있다고 한다.

1단계 목소리. 목소리가 좋은 사람들의 요령은 맥락에 맞는 좋은 호흡으로 일정한 소리를 끊임없이 균등하게 낸다는 것이다. 저자가 추천하는 것은 복식호흡으로 윗배가 아닌 아랫배에 공기를 넣어 힘을 주고 안정적으로 발음하는 것이 포인트라다. 긴 장문은 짧은 문장으로 나누어 숨을 마시고 나누어진 짧은 문장을 힘있게 이어서 말한다.

2단계 발음. 발음을 잘하면 목소리가 좋다는 소리와 더불어 설득과 협상에 좋은 이미지를 주며 자신의 뜻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미지를 통해 자음은 정확한 위치에 혀를 사용하여 발음하고 모음은 발음에 맞는 입술모양을 구사하여 스타카토식으로 발음한다.

3단계 말투. 상황과 조건에 걸맞는 말투를 하면 상대방의 공감을 얻고 협조를 이끌어 낼수 있다. 예를 들어 엄중하고 진지한 자리에선 일정톤으로 말하고 앵커의 상황이라면 말이 끝으로 갈수록 반단계씩 올리며 공식적인 자리에선 밝은 톤으로 이야기 해야 하므로 한 단계씩 올린다. 상황게 걸말는 톤을 유지하면 집중도를 높일수 있고 분위기마저 리드할수 있다.

4단계 발표. 스토리가 있지만 자신의 의지를 피력하고 뜻을 전달하기 위한 목적이 발표다. 상대방을 배려하며 결론을 간단하게 먼저 밝히고 스토리를 입혀서 친근하게 만들며 대화식으로 간략하고 쉽게 설명한다. 면접이나 회의가 아니라도 평상시에 스크립트를 많이 써봐야 말이 논리 구조가 단단하게 되며 표현력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5단계 비언어. 우리는 무의식중에 몸의 제스쳐나 얼굴표정으로 자신의 말을 뒷받침하고 있다. 단순 무의식의 행위라지만 간략하게 말의 중간중간에 포인트로 해준다면 말로 표현하는것보다 더 큰 파급력으로 다가 올수 있을 것이다.

 

물론 약은 약사에게라는 말이 있듯이 자신을 교정하고 학습하고 싶다면 학원에 가는 것이 맞을 것이다. 하지만 기본이지만 디테일하게 무의식이 아닌 자의식으로 책을 통해 트레이닝하면 더 나은 스피치를 구사할수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