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가 아니라 몸이다 - 생각하지 않고 행동하는 몸의 지식력
사이먼 로버츠 지음, 조은경 옮김 / 소소의책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신체에서 가장 중요한 부위를 지목하라면 대부분 머리를 생각할 것이다. 우리가 살아갈수 있게 행동적 지시를 내리며 사고와 더불어 학습을 가능케 하기 때문이다. 서양 철학자 데카르트는 또한 사람을 머리와 몸으로 이원론적으로 구분하여 뇌를 중요부위라 생각하고 최우선 핵심으로 여기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학자들과 심리학자들은 몸이 단순 지시를 받아 수동적인 행동만 하는 부위가 아닌 학습 능력에 주목하기 시작한다.

 

머리는 사고를 하여 지시를 내리고 인지를 조화롭게 작용시켜 생활을 가능케 하는 중요부위하고 알고 있다. 데카르트의 에르고 숨이 남긴 이원론적 생각은 보편화 되었고 서양에서는 뇌를 중요시 하는 색채가 더 짙었다. 하지만 생각만해서 뇌만으로 할수 없는 일들이 있고 지능을 인지 활동의 결과로만 보기엔 부족한 것이 많았다. 그래서 명시적 사실에 기반을 둔 서구교육보다 기억에 오래남고 주도적인 학습을 유도를 하는 경험과 움직임의 교육, 마리아 몬테소리가 생긴 것이다. 체화된 지식의 특징은 갖가지 단서와 실마리 보여지는 신호를 통해 감각적인 관찰로 시작된다. 찰스 포스터란 수의사가 동물의 사고가 궁금하여 동물적 관점으로 보고 생각하기 위해 동물의 옷을 입고 무리에 들어가 똑같이 먹고 자고 행동했다. 행동을 함으로 그들의 특이 행동을 이해 할수 있고 사고 방식을 엿 볼수 있었다. 이처럼 몸으로 체화하는 과정은 관찰에 이어 연습을 함으써 이해할 수가 있게 되고 즉흥성을 통해 인식, 예측, 계획 공감을 통해 소통으로 지식을 보유를 하게 되었다. 이것이 체화된 지식이 습득하는 과정의 다섯가지 방법이며 기억은 두뇌를 통한 정신의 보유 능력이 아닌 몸이 속해 있는 환경에서 습득됨을 보여준다. 시대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딥러닝으로 진화될 때 인간의 지식이 위협받는 것에 뇌를 통한 학습에 치우치지 말고 주변과의 상호작용으로 이어지는 행동적 반복 통해 지식을 체화하는 것이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말하고 있다.

 

데이터가 주는 학습적인 지식보다 경험적인 지식을 통한 체화를 한다면 인공지능과 구분되어 불확실성의 사회에서 경쟁 우위에 서게 함으로 고루한 교육체계에서 바디 스토밍을 통한 선행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