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는 어떻게 나를 성장시키는가 - 편견과 고정관념을 깨는 독서법
김태이 지음 / 프로방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해보면 어릴적 우리의 독서는 자발적인 것이 아닌 누군가의 강요로 시작된 것이 일반 이었다. 책을 많이 읽으면 훌륭한 사람이 되고 성공을 거듭한다는 확실치 않는 근거 아닌 근거에. 그래서 항상 우리의 독서습관과 독서량은 편견과 고정관념에 점철되어 있다.

 

독서가 사람을 만들고 성공에 이르게 한다는 말은 틀린 것이 아니다. 글로 써진 타인의 경험을 통해 사색하고 숙고하며 성찰에 이르는 깊이 있는 사고를 할수 있어 시선과 관점이 넓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깊이 없는 독서, 질보다 양을 권유하고 무조건 인문과 고전을 통해 독서를 해야한다는 잘못된 고정관념을 비추고 있다. 그리고 독서의 완성도를 높이는 정독과 완독보다는 양을 늘리기 위해 속독을 해야한다는 강요하고 있다. 그래서 독서만으로 성공을 논할수 없는 것이고 이는 읽어도 남지 않는 내용과 결과에 보상심리와 같은 흥미를 떨어뜨려 독서를 더욱 기피하게 하고 있다. 이제는 습관을 바꿔야 한다. 독서가 재미있고 세상을 바라보는 혜안과 같은 통찰력을 키우려면 깊이 있는 독서를 통해 사색하고 말과 문장을 꼼씹어봐야 하며 문구에 녹아든 정서를 음미해봐야 한다. 본 도서가 독서를 권고하는 다른 도서와 다른 것은 결과로 이어지는 방법론과 과정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 독서에서 잘못 행해진 동기와 습관을 돌아보고 우리의 생각하지 않는 독서로부터 독서의 필요성과 의미를 재정의 하고 있는 것이다. 그 중 제일 기억에 남는 문구는 어떤 책을 읽어야 하나 아무리 고민을 해봐도 모를땐 목적없는 독서는 행하기 때문이라는 부분이다. 목적이 없는 독서는 자신에게 영향을 주지도 남지도 않기에 독서가 목적이 되지 말고 목적을 결정하고 거기에 도달하기 위해 독서를 해야만 오롯이 얻는 것이 있을거라고 말하고 있다.

 

인간은 자신의 내면에서 반짝이는 섬광을 감지하고 보는 법을 배워야 한다.

-미국 시인 랄프 왈도 에머슨 (P.139

 

어린시절 수동적인 독서가 주였다면 어른으로써의 독서는 통찰력과 전문성을 더하기 위한 독서가 주이다. 하지만 여전히 목적을 위한 수단과 방법으로 독서가 특정장르에 국환되어 있는 만큼 다양한 부문의 독서를 해야만 시너지와 같이 폭과 경험을 넓힐수 있을 것이다. 통찰력을 개인의 지혜라고 말하는 부문이 있는데 독서를 통해 직접과 간접경험을 통해 지혜의 폭을 넓힐수 있는 만큼 편리한 인터넷보다 익숙해진 이들에게 이 책을 권하고 싶다. 쇼펜하우어가 오늘의 우리의 모습은 우리가 읽은 것의 결과다라고 말한 것처럼 우리의 완성도 있는 미래를 만들어가는 것은 올바른 독서 습관에 기인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