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을 빛내는 탐욕의 원칙
이시다 히사쓰구 지음, 이수경 옮김 / 세개의소원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든 점잖은 척을 하고 자신은 아니라고 하겠지만 사람이 먹고 생활하고 소비하는데 있어 탐욕적이지 않은 사람이 없다. 크기와 기대 이상이 다를뿐 인간은 필요이상의 욕심 탐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탐욕을 속물적이라 간주하고 사람들은 감추며 살아간다. 저자는 사람들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탐욕을 초의식에 사용하면 강한 삶의 에너지로 자신이 원하는 바를 성취하며 살아갈수 있다고 한다.

 

사람은 매사 안주하려는 경향이 있다. 가시밭길보단 꽃길을 걷길바라며 새로운 것에 도전하기보단 비판하고 자신의 상황을 인정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 예로 사람들은 세상이 갈수록 나뻐지고 있다고 부정적인 상황을 만들어 간다. 코로나19도 누군가의 음모로 백신과 인구수 줄이기 일환이라고 하고 생활은 이전과 틀려졌으며 살기에 힘든 세상이 되어간다고 한다. 그러나 개인의 입장차가 있겠지만 시간이 지나면 이 시절이 더욱 나았다고 느낄 것이다. 차분하게 설명을 해가며 사회현상을 조목조목 뜯어봐도 상황은 나빠지는게 아니다. 단순 자신에게 그런 프레임을 만들어 자신이 행동을 합리화 시켜 도전하지 않고 안주하게 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저자는 성공과 성취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내면의 합리화, 자신의 욕망을 저지하는 요소들을 배제하고 적극적으로 원하는 자세를 취하라고 한다. 잠재의식속 간절한 욕망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서 저자는 신의식을 통해보며 자신만의 루틴처럼 행동에 신으로서라는 수식어를 앞에 붙인다. 신으로서 밥먹는다. 신으로서 원한다등 행동에 추진력을 더하고 의미를 주는 일환일수도 있지만 탐욕이란 본질의 부정적인 면을 제거하며 주문과 같은 효과, 신이 인간의 삶을 즐기는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이런 행위들이 안된다는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제거하고 순수한 욕망에 충실하게 하여 자신의 하고자 했던 일을 성취하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고 한다.

 

항상 모든일의 성취를 좌우 하는 것은 마음 먹기에 따라 달라지는 것 만큼 시작에서 마음이 절반이다. 사람들이 자신의 욕망을 간절히 원하며 만들어간다는 것에 조금 미심쩍었지만 읽고 나니 기운을 받는 것 같고 원하는 마음의 자세가 틀려진다. 단순하지만 실천적인 마음가짐, 탐욕으로 삶을 얼룩지지 않게 하고 원하는 바를 이루고 인생을 즐기면서 살게 해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