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영혼을 다독이는 관계 심리학 - 나르시시즘과 외로움
우즈훙 지음, 박나영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이 상처를 받으면 자기의 위안의 일환으로 자신을 합리화를 한다.

넌 괜찮아’ ‘잘 해왔어’ ‘틀리지 않아

 

완벽주의자로 보이는 이들은 과거 어린시절 타인의 두려움과 이해가 없어서이다.

맞아 이렇게 자라 왔어’ ‘이게 정당한 길이야

 

가장 바쁜 사람이 피곤한게 아니라 할 일이 없는 사람이 피곤하다.

이유없는 정체성에.

 

나이가 들어 귀가 얇은 사람이 있다.

이들의 세계관이 유치한게 아니라 자신만이 바라보는 세계와 가치관이 확고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사람은 관계로 인해 상처받고 위로하며 위안하고 자기 자신을 합리화하여 정신적 그로기를 모면한다. 과연 이성적이며 지적인 존재의 인간이 이처럼 반응 하고 행동하는 이유는? 우리는 그 원인을 자신을 향한 나르시즘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나르시즘. 신화의 나르키소스란 미소년이 호수에 비친 자기모습에 반해 그리워 하다 죽어 근처의 수선화가 된 이야기. 정신분석학에선 과도한 자기애를 의미 한다.

 

인생은 자기만의 나르시즘을 깨가면서 성장하는 단계이다. 부모와 관계를 맺고 우리는 영향을 받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자신만의 세계, 자기애를 형성하기에 이른다. 자기애는 현실과의 회피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하고 철저한 자신의 합리화로 마음의 부담을 덜어주기도 하고 완벽주의란 수단으로 외로움을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우리의 인생은 관계를 맺어감에 의미를 더해 가는 존재 이다. 그 과정에 편향적인 시선과 인성이 다르지만 사람들의 긍정적인 피드백이 있다. 그것을 삶의 모티브로 전환해야 성찰과 같이 전환되어 삶을 올바른 방향으로 나가게 할 것이다. 근데 그것을 방해하는 것은 무조건적인 관대한 자기애이며 이는 다양한 욕망, 분노, 외침, 증오 같은 형상의 감정으로 방출 되어 삶의 관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다가올 것이다. 상처받은 인격과 관계에 우리가 제일 명시할 것은 조건 없는 자기애가 아닌 타인을 향한 이유없는 관대함일 것이다. 바쁘고 지친 현실속에 자신의 나르시즘을 정당화하지 말고 마음의 문을 열면 주관화 된 시선이 아닌 객관화의 시선으로 바라 볼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영혼의 위로와 외로움을 벗어나 진정한 이해관계를 구축 한다면 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제일 주의 깊게 울리는 말은 도덕적 나르시즘이다. 자신의 이기심을 인정하지 않고 정당화 하지 않으면 관계를 어렵게 하고 자신을 더욱 옭아맨다는 말. 감정과 이성이 교차가 심한 이때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관계 개선을 위한 타인의 인정과 공감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