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일의 세계 - 지금 여기, 인류 문명의 10년 생존 전략을 말하다
안희경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21년 11월
평점 :
코로나19로 인해 인류는 고통받고 좌절했으며 과거 일상으로의 회복을 절실히 꿈꾼다. 하지만 불확실성의 시대는 변이라는 형태로 다시금 우리일상을 위협하고 있다. 과연 이 팬더믹의 종식은 가능할까. 일상을 송두리째 바꿔 놓은후 다가올 새로운 시대는 어떻게 재편되는 것일까. 세계의 지성 7인과의 대담을 통해 그 미래가 가져올 질서를 예상해 본다.
재러드 다이아몬드. 인류학자이며 문명연구가인 그는 과거 <총, 균, 쇠>란 책을 통해 인류의 불평등을 이야기 했었다. 그는 코로나19는 지구촌의 여러 위기를 만들어 냈으며 그로인한 갈등으로 분열을 야기 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보다도 우선적인 핵무기, 기후변화, 자원고갈등 시급한 사안들이 많다. 환경문제나 질병문제로 지구밖에서 그 해답을 찾을 것이 아니라 환경을 보호하고 유지하는 지구적인 해결책을 찾아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부의 양극화현상은 불평등을 초래하고 인류문명의 몰락의 시초가 될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
케이트 레이워스. ‘도넛 경제학’으로 지속 순환 가능한 생태의 경제를 논하는데 인류의 생존을 위한 전략과 정책은 10년 생존 프로젝트를 통해 이룰수 있을 것이다. 2050년의 기후문제는 극열화는 정치인이 정한 숫자에 불과하므로 2030년까지 사회적, 생태적, 지역적문제를 전략수립을 통해 혁신적인 결과물로 극복해야 할 것이다.
다니엘 코엔. 급격한 디지털화가 가져오는 자본주의 전환. 코로나19가 일상으로 들어오듯 그 위기가 덜해지면 급속한 탄력으로 경제는 회복할 것이다. 그리고 디지털자본주의를 선점했던 사람들은 제약없이 산업을 독점할것이며 과거 20세기초 독점자본주의자가 경제 생태계를 무너뜨린것처럼 국가적 위기를 맞지 않으려면 규제와 제약으로 그들을 컨트롤할 법제화가 시급하다.
헬레나 노르베리호지. 로컬 경제운동의 선구자이면서 우리의 정책방향성을 거시적인 안목으로 살펴 본다. ‘그린 뉴딜’ 원전을 폐쇄하면서 자연 재생에너지에 의존하는 우리는 대의라는 명분하에 실리를 버리고 무모한 계획을 진행시키고 있다. 기후변화의 원인을 들여다 보고 공정 방식으로 평가하여 접근방식을 달리해야 환경과 경제 두 가지를 잡을수 있을 것이다.
대니얼 마코비츠. 불평등의 세습은 학력으로 이어지고 그들에게 유리한 정책으로 계층간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능력대로의 보상의 평등이라 주장하는 말은 엘리트들로부터 나온 말이며 교육과 노동현장을 평등하게 만들어야 잘못된 관습으로부터 벗어 날 수 있을 것이다.
조한혜정. 문화인류학자인 그녀는 파상력(꿈꿔온 모든 것들이 무너져 내리는 힘)이라는 개념을 언급하며 절망의 시대를 극복하자고 한다. 서구적 인간관계의 틀을 벗어나 돌봄과 같은 과거의 시간을 기억하며 서로를 살피며 돕는 이해의 관계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사티시 쿠마르. 인도출신의 환경운동가인 그는 나를 사랑하는 과정을 통해 주변을 살피고 지구를 사랑하는 방법을 이야기 한다. 불안한 세상과 연계되고 관계속에 사랑하는 마음이 실존적인 인간의 연결성을 더해 줄것이며 우리의 관계를 확고히 이어줄 것이다.
마지막에 달라이라마의 전언이 나온다. 불가항력적인 일에 전전긍긍하고 불안에 떨지말고 자신의 삶을 충실히 보낼 때 가장 인간적인것이라는 것을. 지속가능한 미래를 이어가는 현재의 우리인데 현실의 냉정한 평가로 위기를 인식하고 지성들의 목소리처럼 본질에 접근하여 인류의 생존에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