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가 은행을 떠나지 않는 이유 - 1천만 원 종잣돈의 비밀
레간자 지음 / 치읓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적인 과정을 돌아볼 때 은행이란 곳은 답답하고 아쉬운 소리를 하러 가는 곳이었다. 한칸씩 막힌 부스는 답답하기만 하고 상품과 금융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볼멘소리를 하면 형식적인 답만하는 무뚝뚝한 곳이었다. 하지만 저자는 부자가 되기로 마음먹으면 은행을 최대한 활용하고 자주 가야 한다고 한다. 그녀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VVIP들의 습관과 패턴이 은행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 우리가 예금 이자가 적다고 생각하고 외면하고 주식이나 코인 열풍에 빠진 이 때 PB센터에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은행에 대한 관점을 달리 하여 부자에 이르는 법을 들여다 본다.

 

10년간 메이저 은행의 프라이빗센터에서 근무한 저자의 추천은 먼저 1천만원 시드머니 만들기이다. 부자들의 습관은 돈이 생기면 일정금액의 적금과 상품을 가입하고 꾸준히 지속적으로 넣는다. (PB센터는 일정금액 이상을 유치해야 들어가서 업무를 볼 수 있지만 주거래은행으로 거래를 하고 있다면 간단한 수신업무도 가능하다.) 부자들은 얼마안되는 돈이라도 지속적으로 넣으며 경기나 동향, 부동산, 새로나운 금융상품등을 이야기 하며 시간을 보내곤 한다. 그리고 만기한 금액에 도달하면 다시금 새로운 상품을 가입하고 그렇게 상품의 수를 늘려간다. 그들에 은행은 일선에서 근무하는 사람들로부터 정보도 얻고 카페테리아 같이 즐길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돈은 늘려가는 공간인 것이다. 단순 대박이나 단기간에 급등하는 수익을 내는 선물, 옥션보단 그들은 종자돈을 굴리는 습관이 부자에 이르는 방법이라고 저자는 이야기 한다. 습관이 형성안되고 포기하는 우리는 스마트뱅킹을 이용하여 가계부를 적어나가며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자동이체와 같은 현금의 이동통해 천만원을 만들고 종자돈으로 다시금 굴려 나가길 권하고 있다. 스마트뱅킹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금융상품의 설명은 돈을 운용하는데 구체적인 방법으로 다가오며 은행의 이용하는 부자들의 습성은 우리의 행동에 목적성을 더해 줄 것이다.

 

주거래은행으로 거래가 많아 PB센터를 자주 이용했다. 아는 팀장이 이동해 지금은 필요할 때 외엔 안가지만 항상 가면 점잖고 멋지게 입은 어르신들이 지속적으로 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들의 행동과 습관이 말하듯 부는 탐구하고 갈구하는 사람이 만들어가는것이며 고전적이지만 안전한 방법이 부자를 이르게 했던것 아닌가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