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하는 기계 vs 생각하지 않는 인간 - 일과 나의 미래, 10년 후 나는 누구와 어떻게 일해야 하는가?
홍성원 지음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1년 8월
평점 :
과거 변화에 대응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 저항의 역사였다고 말할수 있다. 지금의 4차산업혁명과 마찬가지로 과거에도 시대 변혁에 가까운 산업혁명이 있었다. 증기로 인한 1차 산업혁명, 디지털기술의 발달 2차 산업혁명, 인터넷과 재생에너지으로의 전환 3차산업혁명을 겪어왔다. 이 변화의 기로에서 사람들은 순응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않고 변화에 대해 저항했다. 증기기관으로 대량의 실업자가 나올까 기계를 파괴한 영국의 러다이트 운동이라던지 철도관련 노동자가 기계와 대결을 벌인 존 헨리, 힘과 속도로 대결할수 없음을 깨닫고 체스대결로 이끌어 내는등 사람은 기계를 유용한 도구로 보지 않고 이겨야 할 대상으로 보았다. 인간의 승리로 끝나는 듯 했으나 반복과 러닝을 거듭한 기계는 결국 알파고와 같은 인공지능이 인간을 이기고야 만다. 그리고 팬더믹이란 패러다임아래 4차산업혁명이 가속화 되고 변혁의 순간 인간은 자신의 생존을 위해 기계를 안 좋은점만 부각하기 시작한다. 과연 시대의 흐름에 맞춰 인간과 기계의 공존은 할수 없는 것인가. 저자는 경각심을 가지고 기계에 대해 날을 세워 배척하기보단 기계가 할 수 없는 창의적인 부분에서 양립할 것을 권유한다.
알파고, 드론, 자율주행등 기계의 진보는 눈부시게 발전했다. 단순노동을 넘어 인지와 정신을 기대할수 있는 기계는 사용처와 쓰임새가 다양해졌다. 이에 따라 인간의 일을 대처할것이고 기계들은 우리 생활 깊숙이 들어올 것이다. 거기서 인간은 자신의 생존권 위해 반목할것이 아니라 기술의 진화에 걸맞게 인간만이 할수 있는 일의 방식을 바꿔야 할 것이다. 영업 서비스직, 기계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수집과 분석을 할수 있으나 사람처럼 감성적인 피드백을 업무에 적용하기는 힘들 것이다. 명확한 논리보단 이해와 배려를 통해 공감대 있는 영업에 강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제조 현장직, 단순 업무노동이면 괜찮지만 트러블이나 원인을 찾아야하는 사고력을 요구할때는 사람이 필요할 것이다. 기계를 사용한 협업과 기술직동료와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것이다. 연구 개발직, 사고와 창의력이 부족한 기계로써는 변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내는데 한계가 있을 것이다. 창의력과 통찰력을 바탕으로 도구를 통해 기계를 만드는 인간만의 강점을 살려야 할 것이다. 사무 관리직, 업무진행에 있어 논리와 추론이 요구되는 직종이다. 사람들과 더불어 협업하는 능력과 문제해결을 위한 동참이 필요하므로 이슈파이팅과 공감하는 능력으로 미래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역사로부터 살펴봤듯이 변화의 흐름은 개개인이 저항한다고 거부할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렇다고 지고지순한 순응보다는 서로의 모자른 부분 기계와 협업 같은 능력으로 특화시킨다면 변화의 물결을 속에서 도태되지 않고 이상적인 미래를 그릴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