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무삭제 완역본) - 현대판 프로메테우스 현대지성 클래식 37
메리 셸리 지음, 오수원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켄슈타인. 한 과학자의 욕망에 의해 탄생하고 인간의 평가로 형성된 흉측한 피조물.

그 만드는 과정의 괴기스러움과 공포만이 느껴졌던게 어릴적 기억 단편의 프랑켄슈타인이다. 하지만 그 과정을 논하기 앞서 <프랑켄슈타인>은 역사상 최초의 SF장르로 구분되며 현대판 프로메테우스라고도 불린다.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에게서 불을 빼앗아 인간에게 건내주고 문명을 가르쳐준 장본인인데 프랑켄슈타인과 어디서 유사성을 찾을수 있을까. 그래서 <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 초판을 통해 작품을 이해하고 서사적 의미와 시대의 상징성, 반향을 재해석 해본다.

 

산업혁명과 더불어 과학에 대한 지적호기심이 더한 이 때 제네바의 물리학자 프랑켄슈타인은 죽은자의 골격으로 바탕으로 244cm의 거대한 인형을 만들어낸다. 하지만 흉측한 몰골에 이상한 괴력의 괴물은 탈출을 한다. 세상을 떠돌며 존재의 의미와 자아를 형성하는중 인간이 자신의 내면을 보지 않고 자신의 외모에 두려움을 느껴 환멸하기에 창조주를 증오하게 이른다. 분노와 증오에 창조주의 동생을 살해하고 자신이 세상으로부터 벗어나 외로움을 없애줄 같이 할 동반자를 만들어달라고 하지만 종국에 약속은 지켜지지 않는다. 더 큰 증오로 신부를 살해하고 친구를 죽이며 프랑켄슈타인은 분노로 괴물을 없애기 위해 쫒아가지만 결국엔 북극탐험대 배에서 비참하게 생을 마감한다. 괴물은 창조주의 죽음을 확인하고 창조주를 한탄하며 자신을 불태우고 죽겠다는 말을 남기고 사라진다.

당시 여성 저자 (메리셀리)는 남성의 전유물이라는 여겨지는 과학적지식을 자신의 관점으로 갈바니, 해부, 생체, 화학, 전기등을 융합하여 상상의 소설을 만들어낸다. 여성특유만의 감정으로 인물을 묘사하고 서사적으로 표현하기도 했지만 개인적으로 셰익스피어와 같은 미사여구가 더 아름답게 다가온다. 이런 묘사와 반대로 소설은 다양하게 해석될수 있다. 당시 산업혁명으로 소외당하고 배척당한 노동자의 분노를 표현한 러다이트 운동(1800년대 영국 노동자들의 기계 파괴 운동)에서 사회상을 반영하고 인간내면의 고통을 그린 자아의 분열과 성장과정, 번뇌의 표현 인간의 성장 다크노벨로 분류되기도 한다. 여성고유의 능력인 출산에 대해 도전하는 과학자 아버지의 모습, 가부장적인 사회상에 대항하는 페미니즘이라고도 해석하고 있다.

 

무의식중에 시대와 사회의 관점이 반영되어 다양한 해석이 분분하지만 문학적작품으로 봤을 때 고뇌와 욕망에 찬 인간의 모습, 회화적인 묘사만으로 한 편의 슬픈 멜로디같은 소설이다. 초판으로 접할 때 작품의 가치와 많은 생각을 자아내는 소설 <프랑켄슈타인>은 나에겐 훌륭한 문학작품으로 다가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