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축, 모두의 미래를 짓다 - 건축 너머의 세계를 향한 치열한 질문과 성찰 ㅣ 서가명강 시리즈 17
김광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4월
평점 :
건축학 (Architecture)
응용과학의 한 분야로 인간의 사용공간을 공학적 지식과 기술 바탕으로 심미적, 실용적으로 설계하는 것.
건축. 사회적인 관념과 의무속에 자신만의 안주할곳 만들어주는 것을 난 건축이라 생각해 왔다. 하지만 건축의 개념이 변질되고 있다. 건설사나 시행사에 종속되어 턴키만을 위한 설계를 하며 고유의 개성과 본질을 속이며 형식적인 조형물만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물론 의식있고 자신만의 영역을 확립하고자 하는 건축가들은 따로 설계사무소를 차리고 자신의 영역에 고유한 색을 남기려 하지만 현실은 녹록하지 않다. 퇴색해가는 탈개성 시대의 흐름에 맞춰가는게 건축인가 아니면 독창적인 결과물로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하는게 건축인가.. 우리는 건축을 통해 우리가 안주하는 공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래의 의미에서 투영되는 사회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시대의 유명한 건축가들도 사회적 배경에선 자유로울수 없었다. 자본, 시대적사상, 개인의 욕망등에서 비롯해 건축주들이 내세우는 가치관이 오롯이 포함된 것이 건축물이다. 그래서 그들의 니즈와 욕망이 반영된 건축물을 이해하기 앞서선 사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건축이 그 시대를 구축하는것인가 사회가 건축을 만드는 것인가 하면 모두 후자를 대답할 것이다. 하지만 이런 사회적사상의 반영이 탈개성화를 만들며 형평적인 관점이라는 미명하에 균질화 시키며 장소가 주는 고유의 의미를 파괴하기까지 한다. 그래서 무리한 요구의 바탕인 사회질서가 우리가 사는 장소를 위협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이는 시대적 흐름에 몸을 맡기기 보단 개인이 건축 고유의 의식을 가지고 건축 본래의 가치를 추구해야 이루어질수 있는 이해이다. 그러면 건축이라는 조형물은 개인고유의 기쁨과 안식을 넘어 모든이의 기쁨과 장소 삶의 의미를 더해줄 공간으로 만들어 줄 것이다.
우리는 숨쉬고 안주하며 살아갈 공간을 보기보단 투자와 가치로 평가한다. 언제부터 의미가 퇴색한지 모르겠지만 똑같은 시선으로 같은 공간을 추구한다면면 똑같은 인식의 사람만을 만들어낼 것이다. 종국에 개인 고유 가치와 삶의 의미가 없어 진다면 우리는 존재의 의미를 잃고 희망도 없이 수동적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부속품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