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수의 협상법 - 인생의 승부처에서 삶을 승리로 이끄는 협상비법
신용준 지음 / 리텍콘텐츠 / 2021년 4월
평점 :
인간은 소통이라는 이해관계를 넘어 항상 무언가 자신이 갈구하는 욕망에 협상하는 지적인 존재이지 않나 싶다. 형식적인 의미와 행동의 표현 어원은 협상을 규정짓고 있다. 단순 두 개의 무리가 재화적인 이익을 위해 서로의 갈등단계를 풀어가는 것 이라고. 하지만 그 단어를 규정짓기엔 어원의 범위는 행동력과 영향력이 크다. 물질적일때도 있지만 형식적인 자존감일때도 있고 규범적으로 한정지을 수도 없다. 하지만 우리는 재화의 이익을 논할 때 빼곤 협상이란 인식을 안하고 감정적으로 대할뿐 우리가 간과하는 일상의 생활이 우리에게 마이너스가 된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협상 범위와 규정 그 이해관계 상충의 룰을 파악하고 일상의 모든 것을 접해야 우선관계 상위에서 볼수 있을것이다.
협상은 기법의 문제일까 요소의 문제일까 아님 상황에 맞는 매뉴얼의 문제일까. 우리는 그런 의구심 이전에 앞서 사람의 심리를 파악하고 상황을 숙지하며 능동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물론 상황과 요건이 형평적으로 다가올 수는 없다. 하지만 제 3자의 입장에서 보는듯한 시선으로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감정이 아닌 매뉴얼에 의한 대처를 체득한다면 그 결과는 성공으로 향할 것이다. 인생의 다양한 변수가 있는만큼 도서에서는 살라미, 더블 바인드, 레드 헤링등 다양한 기법을 제시 하고 있다. 이런 키워드가 지침은 아니지만 약간의 객관적인 시야를 넓혀 줄 것이다. 그리고 상황에 따른 심리와 사람들의 인식을 바탕으로한 실례는 우리가 경험해보지 못한 상황을 조금더 객관적으로 바라 볼수 있게 해줄 것이다.
나에겐 협상이란 짧은 인간관계인만큼 그 인식이 폭 넓게 다가오지 않는다. 하지만 협상은 현실에 밀접한 단어로 우리 곁에 다가와 있고 한정짓지 말고 폭 넓은 이해와 절충이란 말이 더 어울리는 것 같다. 실례로 가족과도 자식과도 늘 이해와 절충이 필요하고 일상의 누군가와의 대화에서도 이해와 인식이 필요한 만큼 그 기술은 절실히 필요해질 것이다. 책을 통해 그 이해의 물꼬를 트고 앞으로 나아간다면 인생에 큰 긍정적인 영향, 자신의 삶에 플러스가 되는 인생의 이해와 절충, 타협이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