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대전환 - 하버드 ESG 경영 수업
리베카 헨더슨 지음, 임상훈 옮김, 이관휘 감수 / 어크로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공유하는 경제, 가치경영이 떠오르고 있다. 비단 코로나19라는 시국이 주는 사회, 환경적인 문제일수도 있지만 사회가 추구하는 이해가 거시적, 친환경적을 넘어 국가의 성패를 가를 전략으로 방향성을 향해 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 예로 얼마전 국민연금이 ESG를 행하지 않은 기업에 투자 하지 않기로 했으며 이로 인해 나라를 대표하는 대기업들의 주총에서는 앞으로 전략적 방향을 ESG를 고려하는게 화두였다.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인 요소인 `Environment` (친환경), `Social` (사회적 책임 경영), `Governance`(지배구조) 요소를 바탕으로 행해지는 경영전략이다. 기업의 목적은 이익을 실현, 주주의 가치를 올려줌으로 동반성장을 거듭하는 것 이었는데 그동안 우리는 지속가능투자 재무적요소의 판단에 의해서만 투자의사를 결정하였다. 하지만 단기적인 이익실현이 아닌 장기적인 비재무적 요소를 통해 기업의 영속성을 꿈꾸게 되었으며 기업의 행동이 사회의 이해가 일치되어 서로간의 이익으로 실현될수 있게 바라보는 미래전략으로 나아가게 된다. 이것이 ESG 이며 다국적기업인 유니레버, 월마트등이 그 전략을 통해 사회적 기업으로 거듭나게 된다. 규모의 마켓을 실현하는 월마트는 성장을 거듭할수록 난관에 봉착한다. 불합리한 임금과 고용관행, 성차별, 반노조 활동, 지역경제의 소상공인의 몰락등으로 사회적 지탄을 받기 시작한다. 하지만 미국 최악의 재난 카트리나 구호를 통해 세간의 시선을 타파하고 이를 계기로 자원과 환경을 생각하는 제품을 판매하기로 선언한다. 지속가능한 경영으로 상황을 타계하려 했는데 이는 실보다 득으로 다가온다. 온실가스 감축으로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게 되고 연간 비용적으로는 25000만달러를 절감하기에 이른다. 기후리스크를 타계하고자 했던 공유가치의 추구가 리스크 개선으로 사회와 기업에 이익을 주지만 이를 추구하려면 기업과 사회, 주주의 이해가 필요하다. 기업은 전략의 방향성을 확고히 하여 조직원들과 한목소리를 내야하고 사회는 지나친 간섭이 아닌 규제의 완화와 친기업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주주는 단기 이익실현에 가치를 두지 말고 거시적인 안목으로 기업의 전략에 힘을 더해주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산적해 있는 문제들이 많다. ESG지수를 통해 연대적인 방향성을 갖기 위한 재무설계랑 사회적협조를 이끌어 낼 산업생태계의 이해도가 부족하다. 규제를 통해 로비와 같은 제도적관행도 일어날것이며 기업과의 주주의 시선 또한 상이하게 다르다. 하지만 이런 변화의 물결은 생존의 필수불가결이 되었으며 우리는 높은 이해와 협업을 바탕으로 미래를 향해 선점하고 나아가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