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자존감을 키우는 부모 수업 - 아들러 심리학으로 배우는 바람직한 자녀교육의 모든 것
호시 이치로 지음, 김현희 옮김 / 이너북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적으로 폐쇄적인 형태의 생활이 유지되므로 현재 우리의 감정은 불안하고 초조하다. 그래서 낮은 자존감의 일환으로 분노와 열등감은 표출되며 이는 개인을 넘어 가족과 주변이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준다. 우리는 완성된 자아개체로 그 틀을 이루었지만 아직 자아가 형성되지 않은 아이들에게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 그래서 우리는 아이들의 높은 자존감을 형성하는 교육에 앞서 그들을 인격체로 인정하고 심리학 측면에서 이해하며 아이들 자발적인 변화, 행동을 촉구 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아이들을 교육하며 통제한다. 물론 동일하다고 할 수는 없으나 몸에 밴 사고의 틀은 과거 교육을 답습하게 한다. 예를 들면 아이들은 미숙하고 배워가는 존재다. 그 과정에서 실패를 거듭할수도 있으며 오류를 범할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는 실패 피해야 하고 해서는 안될것이라 배워왔다. 결과의 끔직함을 교육받았을뿐 이유를 모르고 하지 말아야 할것이라는 인식만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할때 실패의 인식이 고정된 우리는 조금 더 나아가 실패로부터 아이는 보호해줘야 하고 실수를 싫어하는 두려워하라 부모의 교육을 심어준다. 아이들은 오롯이 실패가 주는 곤란함의 감정을 모르며 같은 실수를 반복하게 되고 똑같은 상황이 오면 위기 대처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우리는 아이들의 자립심과 실패라는 두려움을 본질을 알수 있게 해줘야 한다. 물고기 잡는 법이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자문하며 생각해서 해결할수 있게 해줘야 가능할것이다. 똑같은 눈높이에서 확고한 가치관을 가질수 있게 스스로 생각하고 돌아보는 질문을 해줘야 하며 지시형이 아닌 많은 선택지를 제시하고 아이들 스스로 선택할수 있게 해주어야 한다. 그러면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는 경험과 자신의 선택에 대한 자존감을 바탕으로 아이들의 다양한 존재로 클 가능성을 열리는 것이다. 이는 많은 시간을 접하는 부모에게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소한 말투, 대화의 방법, 감정보단 행동과 인정, 하나의 동등한 인격체로 대하는 것이 아이 자존감 교육을 위한 첫 발걸음이 될 것이다.

 

감정이 섞인 말 한마디 안하려 조심하고 교육의 일환으로 권유형으로 질문, 답하려 한다. 하지만 무의식중에 쉽게 나오지 않은 것을 몸에 밴 사고가 고착된것이라 치부하며 핑계를 되며 넘어갔다. 이는 아직 부모로써 나의 미숙함을 인정하지 못해 무의식적으로 나오는 행동이 일환이 아닐까 책을 통해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