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시학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35
아리스토텔레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고전보다 쉽게 접해보고 들어봤을법한 것이 그리스 신화이다. 이 그리스 신화들이 오늘날까지 사랑받는 이유는 문학, 문화, 미술의 모티브가 된 것 뿐 아니라 시대와 인종을 넘는 인간내면의 심리를 묘사하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 신화다움을 잘 묘사하는 것이 아이스킬로스, 에우리피데스, 소포클레스의 3대 비극 시인이다. 왜 희극도 서사시도 아닌 비극 시인이 신화를 넘은 후세에 영향력 미치는 전승을 하고 사람들의 내면 심리를 돌아보게 하는걸까.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그 의미를 보고 다른접근을 할수 있다.

 

시학은 시의 본질을 들여다보고 형식, 이유, 종류, 법칙에서 그 원류를 찾고 있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을 비극과 서사시에 제한하여 들여다 본다. 그는 단순 시를 즐거움의 접근이 아닌 이성적 산물로 철학적인 접근을 하고 이야기 한다. 시는 예술적인 영감과 감정에 호소하는 것이 아닌 훈련에 의해 갈고 닦을때만 시학의 본질에 공감에 닿을수 있다 한다. 그래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본성을 모방에서 접근한다. 사람의 발전과 진화를 거듭하는 것은 본능과 같은 모방에 의해서 노력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모방은 원초적행위이며 사람들을 모방을 들여다 보는 것을 좋아하고 시인들이 모방을 통해 이야기 한다. 하지만 희극보단 주는 재미보단 희노애락의 비극이 더 사실감 있게 표현하기에 시학은 비극에서 잘 나타낼수 있다. 비극은 기승전결이 있으며 행동모방이 아닌 배우들의 연기와 스토리 전개로 두려움과 연민을 조성한다. 그로인해 청중들은 결말에 이르면 간접적인 카타르시스를 경험할수 있으며 이런 조건이 충족하려면 비극의 이야기는 체계적이면서 객관적인 사실의 요소를 다루어야 한다. 이런 비극이 탄생하려면 플롯, 성격, 대사, 사상, 시각적 요소, 노래 6가지가 유기적으로 얽혀야 하는데 제일중요한 것은 플롯 (인과관계 기인한 사건 이야기) 이다. 플롯을 통해 스토리와 분위기 반전으로 청중들은 두려움과 연민 다양한 감정을 경험할수 있고 복합적인 전개로 인해 예상과 다른 반대되는 결말에도 이루니 극적인 재미도 있다. 모방이란 행동을 보며 청중은 사건에 개입할 수있으니 청중은 하나의 스토리에서 다양한 감정을 경험 할 수 있다. 행복에서는 불행으로 향해야 하며 악한본성의 의도가 중대한 실수, 반대되는 결말등 플롯의 결합이 가장 이상적인 비극이라 하겠다. 거기에 개연성과 보편성이 더 해진다면 우연한 스토리의 전개가 아닌 필연적인 상황을 몰입하게 되어 그 웅대한 서사시에 경이감 마저 들것이다.

 

오이디푸스’ ‘오디세이야’ ‘테레우스등의 그리스 신화는 전설보다 인간의 심리가 보여주는 본능의 행동촉구 그 말로를 이야기 하고 있다. 단순한 유흥의 하나가 아닌 철학적으로 접근하여 인간의 본연의 삶과 행복을 이야기 하는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다시금 새로운 시선으로 그리스 신화를 돌아 보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