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유신을 설계한 최후의 사무라이들 - 그들은 왜 칼 대신 책을 들었나 서가명강 시리즈 14
박훈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이지 유신. 우리에겐 익숙하지 않은 단어 일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을 모티브로 경제를 개발 시키고 개방에 근대화 개혁을 울부짙는 만큼 메이지 유신은 크게 우리의 경제 이상향에 다가 올수 있습니다. 막부 말기 태동의 근대기는 배경에 적합했고 사무라이 아니 지식인들이 칼을 차고 혁신을 꿈꿉니다.

거기서 접하는 사카모토 료마그 정보를 알고 싶지만 혁신의 중점에선 그는 역사를 통해 소식을 접할기회는 많지 않습니다. 당시 칼로 말하고 자신의 계급 존심을 대변했던 계급에 비해 출세를 위해 책을 들고 신물물에 위화감을 갖지 않으며 접한 그는 궁금점으로 남아 있습니다. 그의 파생은 아니지만 이게 학문적 소양 존왕양이론을 구축하게 되고 혁신의 계급으로 새로운 계급으로 자라게 됩니다. 그러면 메이지 유신이 발발한 이상 그 유파와 전패 이상이 대립한 이상 발발의 중심점이 인물로 펼쳐집니다. ‘요시다 쇼인그는 혁명가 였습니다. 토론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물의 사상을 전파하여 했고 단국 지방자치의 발전이 아닌 부국 강병을 꿈꿉니다. 하지만 사무라이라는 계급은 맹약에 따라 목숨을 거는 소모품이었을뿐 계급에 대한 자부심만 의식과 목적이 없는 맹목적인 군졸에서 발발합니다. 그런 그 사이에 개혁과 변혁을 이끌고 온 풍운아사카모토 료마등장하여 개국과 문물 개방을 지도 하고 지방 군주의 번제도가 있는 상황에 사쓰미번과 조슈번을 중재하며 개혁의 풍은으로 나아갑니다. 혈혈단신의 개혁의 주도자 일본의 근대개혁의 초시자로 일컷는 사카모토료마의 등장이고 우리는 이로 인해 그이 정치성과 개변혁의 중심을 살펴볼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의 의식과 상관없이 집권층에 따라 세대와 제도는 국익에 바뀌고 거기서 과거제습과 관례가 속박하는 국가의 이익을 대변 하는게 보입니다. 인물의 특성이라 할수도 있지만 시대가 필연적으로 만들어야 하는 인간상이며 일본이 원하고 치구했던 군상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본 책은 개혁가들의 모습과 군상을 통해 통찰력과 동아시아 지배자의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뱉기는 아깝고 삼키기는 힘든 일본. 협력과 공생을 통해 미래모습을 그려봐야 할 상대가 중국이 아니고 적대시 하지 말아야 하는 일본 아닌가 경제적인 면에서 생각해 보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