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X 코드 - 디즈니와 넷플릭스 디지털 혁신의 비밀
강정우 지음 / 시크릿하우스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변화하고 복잡해진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킬려면 기업도 철저한 맞춤혐 서비스로 응대해야 하는데 넘치는 정보와 다양성 때문에 이를 비즈니스에 수용하기 힘듭니다. 기업의 존폐로 영양을 미치는 디지털 기술 기존의 전통적인 비즈니스 기업에서 디지털 기업으로 전환한 넷플릭스와 디즈니. 두 기업의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DX)으로 성공을 이루어는 과정에서 살펴봐야 우리는 그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것입니다.

 

우편으로 DVD를 렌탈하는 기업으로 시작해 스트리밍의 선두주자가 된 넷플릭스.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DX)에 성공하기 위해 그들은 AI와 데이터 과학을 자신들의 스트리밍에 접목합니다. 사내경쟁을 유인하는 대회로 새로운 알고리즘을 발견하여 보는 영상물과 비슷한 영상물을 추천해주는 AI를 시작합니다. 구독의 경제를 실현하는 그들에게는 콘텐츠가 유한하기에 고객의 충성을 유발하지 않으면 이탈을 걷잡을 수 없어 방대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고객이 머물다간 화면을 바탕으로 추정, 개인형 맞춤 썸네일로 고객을 유도해줍니다. 이 같은 노력이 있기에 팬덤의 고객을 만들 수 있었고 오르는 구독료와 부족한 콘텐츠를 커버하기에 이릅니다. 그리고 이 알고리즘 AI를 바탕으로 스트리밍에 독보적인 위치에 이르고 막대한 수입료를 콘텐츠제작에 투입 애플티비나 HBO 디즈니를 따돌리기 위해 노력합니다.

 

디즈니. 애니매이션을 통한 스토리로 방대한 테마파크를 완성시키며 이 놀이공원에 인공지능, 가상현실, 증강현실등 신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매직밴드와 발자국 알고리즘 측정을 통해 빅데이터 기반으로 피드백을 디지털화하여 고객의 편의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왜 어디서 어느 목적으로 고객이 만족하면서 머무는지 그들의 경로를 완벽하게 이해하며 재방문을 희망하게 만들만큼 고객을 위한 직원의 교육도 철저히 합니다. 거기다 픽사와 폭스, 마블까지 수용하며 디지털화 스트리밍시장에 진출 독보적인 콘텐츠로 넷플릭스의 자리를 위협하기도 합니다.

 

두 기업뿐만 아닌 컴캐스트(NBC유니버설), HBO, AT&T, 아마존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IT 기업들마저 종횡무진하며 구분도 경계도 없는 스트리밍 비즈니스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이 같이 진보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정확한 방향성을 가지며 새로운 도약을 시도하는 그들은 훌륭한 서비스 마인드를 가지고 구비즈니스와 신비즈니스를 오가며 DX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은 DX를 적용한 곳이 9.4%에 불과하며 이 중요한 점을 간과하고 시대에 흐름에만 겨우 쫒아가고 있습니다. DX가 조직의 운영과 방식에 미치는 중요한점을 알고 디지털 기술이 전략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다시금 깊이 생각해 봐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