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대 앞은 왜 홍대를 다니지 않는 사람들로 가득할까 -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하는 디자인경제
장기민 지음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0년 8월
평점 :
디자인. 주어진 목적을 조형적으로 실체화하는 것으로 우리는 디자인을 단지 보여지기 좋은 것 혹은 추상적인 이미지로만 디자인을 정의 해 왔다. 전문영역이라 생각하여 더 접근하기 힘들었고 디자인을 정의하고 행하는 사람들은 극소수의 창의적인 사람들이었기 때문에 더욱 접근하기 힘들었지 않나 쉽다. 하지만 우리가 인식하지 못한채 디자인은 단순 외형만 보기 좋게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생활속에 깊게 뿌리내려 실물경제를 이끄는 창조적 원동력이 되어가고 있다. 문화, 사회, 건축물, 비즈니스등 인식을 하지 못했을뿐 디자인은 자연스럽게 우리와 호흡하고 있으며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다.
그래서 놓치기 쉬운 우리의 일상을 디자인경제의 시선으로 살펴보면 그 비즈니스 문화 발상이 성공하는 원인과 이유를 알수 있으며 디자인을 생활에 접목시키면 더욱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 말한다. 소비자의 시선으로 디자인과 경제의 유기적인 관계를 살펴보는 본 책은 생활 관계 국가 소득 구분으로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스타벅스, K-POP을 리드하는 BTS, 코로나가 주는 언택트 문화등 다양한 방면에서 살펴 보고 있다. 그 중 눈에 나이 장소 시간에 관계없이 자기계발을 할수 있는‘클래스101’을 소통의 경제학 시선으로 살피고 있는데 그들의 기업문화라던지 성공할수 있는 배경측면에서 고유의 아이덴티로 대중과 호흡하는 모습을 설명한다. <월간 이슬아>를 바라보는 시선에도 경제학의 의미를 찾을수 있다. 고유 자신만의 어체로 진심어린 일상 스토리를 컨텐츠로 승화시켜 대중의 공감을 엮어 내는 것 공감경제학이라는 의미를 정의 해본다.
물론 이런것들이 홍대와 디자인과 무슨 상관이냐고도 할수 있겠다. 우리가 가진 고정관념 인식을 설명하기 위한 단편적인 예일뿐 폭 넓은 시선을 갖길 바라는게 저자의 마음이다. 디자인 사전적 의미를 떠나 디자인과 융합하면 물건이나 문화 경제를 새롭게 인식시켜주기에 급변하는 세상 존재의 활로에 서있는 우리에겐 중요하지 않은가를 말하고 있다. 누군가에게 인식된다는 것은 새롭게 정의가 되며 각인이 된다는 것. 그 인식을 부여받지 않으면 도태되고 우리의 존재 의미는 퇴색될 것이라 이야기 하고 있다.
우리가 보고 있어도 알고 있어도 정의 내리기 힘든 디자인. 그 디자인을 알면 우리 전반의 흐름을 파악할수 있으며 우리의 사고와 생활에 접목한다면 조금 더 윤택한 길로 나아갈 수 있지 않을까하는 폭 넓은 관점을 제시하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