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플랫폼 승자의 법칙 - 디지털 전환시대 경영 레볼루션 전략
홍기영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6월
평점 :
언택트의 사회문화가 플랫폼을 향상시킨다 할수 있겠지만 소비의 문화가 플랫폼의 활성화를 주도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항상 실리를 추구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생산자와 연결시켜주거나 SNS으로 소비자의 참여, 소유의 경제가 아닌 공유의 경제로 넘어가는만큼 플랫폼은 그 중요성을 각광받고 있습니다. 그래서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 하고자 비즈니스의 기초모델을 플랫폼활용한 전략으로 삼고 모델을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와 같은 사례를 애플, 구글, 아마존, MS에서 찾아 볼수 있습니다. 단순 하드웨어의 판매가 아닌 소프트웨어와의 시너지를 고려하여 레버리지효과를 볼수 있는 플랫폼을 자신만의 개성과 색깔로 개발하여 네트워크 효과와 결합시킵니다. 그러면서 팬덤과 동시에 업계 비즈니스의 선도자로 주도권 경쟁에서 항상 우선순위를 선점하게 됩니다. 물론 이와같은 비즈니스 모델이 우리나라에도 있었습니다. 공유경제의 시대에 맞게 타다가 출범했습니다. 하지만 좋은 서비스와 편안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파이를 침해한다는 기득권의 인식으로 규제로 이어져 무너지게 되었습니다. 타다나 공유오피스 위워크는 시장을 먼저 선점하지 못하거나 시장진입을 막지 못해 무너진 선례는 아니지만 플랫폼을 구축시 이런 문제또한 간과 할수 없을 것입니다. 앞으로 다양한 장르의 비즈니스 모델 출현이 혁신산업과 전통산업의 갈등과 충돌로 사회적 문제를 야기 시킬 수도 있겠습니다. 그래서 정부나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 경제발전과 혁신의 성장을 가로 막는 규제완화와 제도적 시스템의 보완 또한 필요 되겠습니다.
이와같이 플랫폼의 생태계는 이론과 원리로만으로 설명될수 없으며 상황에 맞는 비즈니스 전략과 꾸준한 내부 프로세스의 점검이 필요 하겠습니다. 기존의 방식들이 디지털전환에 있고 프리랜서등 자유로운 활동의 긱(Gig)경제의 출현이 대두 되는 만큼 플랫폼 노동자의 고용안정과 경제윤리적 관점에서 항상 개선하고 생각 해야 겠습니다.
플랫폼이 성공비즈니스 모델의 스탠다드는 아닙니다. 하지만 생산자, 소비자와 혁신적인 소통으로 접점을 찾아 서로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플랫폼인 만큼, 생태계의 구축과 실패하는 요인에 대해 전반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성공에 대한 유기적인 전략과 마인드를 바탕으로 스타트업을.. 플랫폼을 시작해야 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