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나카오 사스케 지음, 김효진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의 유구한 역사속에 그 발전 배경과 기원을 찾으라면 농경생활로 인한 정착이라 압축 할수 있겠습니다. 문화라 하는것은 예술작품 또는 시대의 유행의 산물이라고도 말할수 있겠지만 농경또한 하나의 문화의 기원이라 하겠습니다. 인류의 역사는 소비의 역사로 시작합니다. 수렵시절 자연에서 자생하는 동식물들을 찾아 이동하고 늘 위협에 노출되어 인구증가의 속도는 느리기만 했습니다. 하지만 먹을수 있는 동식물과 자연에서 재배되는 것을 경험한 인류를 정착을 하기 시작하며 효율적인 재배를 위해 정착을 하고 인구를 늘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로 인해 농경기술의 발달로 농기구와 기술을 시작으로 과학과 문화의 발달로 이어지게 됩니다. 농경에 대한 근본과 기술로 인류의 역사를 살피는 본 도서는 식물의 다양한 종과 분포로 시작합니다. 다양한 종의 식물 소개와 서식지와 환경에 따른 문화 발달로 시작해 지역에 따른 문화의 정착과 발달을 소개 하고 있습니다. 사바나의 농경문화, 지중해, 남북미등 신대륙의 농경문화를 소개 하고 있습니다. 자생종부터 재배의 발달이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여실히 보여주고 농경문화의 바탕이 국가간의 민족간의 생태가 다르게 만들어주는것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토양과 기후에 따라 재배 종이 틀리고 생산물이 소비자 진화에도 영향을 미쳐 각기 다른 문화권이 생성되는 과정을 이해 할수 있습니다. 농업에도 혁명처럼 발달변천상의 과정이 있고 이로 인해 사회 제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있다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스와 페르시아의 전쟁이 관개농법과 건지 농법의 전쟁이었으며 정복을 통해 농법의 문화의 우월함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3차 혁명은 경작의 양이 비약적인 늘게 되어 유럽사회의 봉건제 사회를 떠받치기도 합니다. 단순한 기본적인 생명유지의 수단으로 소비의 대상인지만 알았을뿐 일차적 단순함을 넘어 식문화가 사회문화 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것을 실감했습니다. 농경의 일대기와 인류사에 미치는 영향 농경의 중요성을 엿 볼수 있는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