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자의 말센스 - 돈과 사람을 끌어당기는
김주하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4월
평점 :

사람과 사람 사이의 서로의 입장을 설명한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을 밝힌 도서가 아닌가 싶습니다. 과거의 속담에 있듯이 왜 말한 마디에 금전적인 채무를 갚을수 있고 말한마디에 은혜가 원수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 다른 언어로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이 아닌데 표현하는 사람에 따라 각양각색으로 해석 되는것일까요. 어릴 때 자신의 아르바이트 상황에서 더나은 상황과 나은 대처의 세일즈로 저자는 성공하는 사람들의 방법을 엿보게 됩니다. 같은 표현 같은 수식구이지만 동일조건 동일상황을 주어도 누구는 상황을 2차 3차 나은 시너지로 타개 하지만 어떤이는 실패의 상황을 탓하며 불합리함을 인정합니다. 사람의 생활이 자신의 언어의 습관을 만들고 습관이 행동을 만들지만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자신 행동의 부적합을 표현의 적절함 인지를 못합니다. 그 차이는 어릴 때 보고 배우고 자란 환경이 그를 만들것일까 생각하지만 아닙니다. 무의식적으로 관계와 배려 인식을 생각도 안하고 과정을 인지해도 습관의 바탕을 자기것으로 만들려 하지 않으려 해서입니다. 그래서 상황의 인식과 행동의 실천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저자는 교육과 주변 사례를 통해 다양한 표현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는 부자를 만드는 금전적인 언어에만 국한 되는게 평생을 두루 깊이 사귀게 될 인간관계에도 적용되기에 점진적으로 감정과 상황을 배제한체 두루 사용할 것을 권합니다. 말을 넘어 언어에 포함된 배려와 제스처까지 표현하는 말센스, 다양한 성공자들의 피드백으로 언어 습관 행동 사고 자신의 전반적인 라이프에 변화를 줄것입니다.
소통의 좋은 결과는 같은 눈 높이에서 서로를 인정하며 배려하며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 할 때 쉽게 이루어지리라 봅니다. 말로 하는 언어만이 아닌 SNS, 메신져 비대면 언택트의 과정이 많아진 현실의 삶에서 그만큼 이해와 감정 결론 도출 언어의 표현은 더욱 중요하겠습니다. 뉘앙스와 표현의 차이만으로 의미와 본질 접근이 다른 만큼 타인의 경험 간접체험할수 있는 독서로 다양한 표현의 방식 논지의 근거, 설득의 합리화를 자신의 생활에 넣어 나아진 인간관계 삶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