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다움의 사회학 - 남자를 지배하는 ‘남자라는 생각’
필 바커 지음, 장영재 옮김 / 소소의책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자의 정체성은 언제 만들어질까요? 자의도 타의도 아닌 우리도 모르게 자라오면서 주입식으로 들은 교육과 환경에 만들어지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얼마전에 읽은 책중 남자아이가 아니라 아이로 키운다는 책을 읽은적이 있습니다. 남자라면 무조건 강한 색상과 총같은 장난감을 가지고 놀라는 교육으로 아이를 편향적으로 키우기 싫어 삶의 다양성과 반 페미니즘 정서를 갖고 하게 싶어 교육방침을 보여주는 책이었습니다. 본 도서는 그와는 반대로 남자다움을 타의로 교육에 의해 지니고 태어나는 우리의 환경과 그 과정으로 자라오면 발생하는 폐해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어릴 때 많이 들어던 말로 사내자식이’‘남자는 울지 않아강인하고 리더가 되어야 하는 극단적 방침에 그렇게 듣고 자랐습니다. 하지만 이는 참을수 없는 외로움과 분노 다양한 인간관계에 적응할수 없게 만들며 높은 자살률로도 이어집니다. 그리고 강한 남성성의 주입은 왜곡된 성가치관을 가져오게도 하며 포르노와 같은 중독으로 이성을 배려하고 존중해야 할 상대가 아닌 쾌락의 대상으로 간주하게 됩니다. 왜곡된 성으로 이성과의 친근한 관계가 형성이 안되면 상처에 남성권리운동가로 이어지고 MRA,인셀과 같이 폭력의 표출로 살인을 행하기도 합니다. 단지 강하고 자신있게 남성성을 강요했는데 커서는 배려자에 폭력을 가하는 가정폭력을 행하고 남자다움을 지녀야 한다는 압박감과 통제에 자살로 이어지기까지 합니다. 당시에는 화이트칼라보단 블루칼라가 대부분이고 남녀의 역할이 정해져 있어 그런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고도 볼수 있습니다. 사무실에서도 사회환경에서도 강요를 받았지만 앞으로 다가올 디지털 사회에는 남자다움이 통용되지 않을수 있습니다. 인공지능에 직업군이 바뀌고 생활상과 삶의 전반이 과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일것이기에 남자다움과는 선을 긋는 시대가 올 것입니다.

그래서 저자는 남자다움을 시대에 맞게 다시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합니다. 개인의 시간과 여유가 늘어나는 만큼 요리로 가정에서 소통하며 즐거움을 느껴보고 무조건 만능의 아빠와 남편을 요구한다는 강박관념을 버릴 필요가 있다합니다. 자신이 배우자에게 대처하는 자세는 자신의 딸이 미래에 받을수도 있는 입장임을 생각하고 가족환경의 중요성을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합니다. 변화하는 밀레니엄시대에 원하는 남성상도 이해되는 남성상도 틀린만큼 과거의 잔재를 강요 하기만 할뿐 아니라 미래의 행복과 건강을 위해 남자다움 의미를 재조명해봐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