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분 회의 - 간결하고 효과적인 회의의 힘
도나 맥조지 지음, 이정미 옮김 / 미래의창 / 2020년 2월
평점 :
절판


지금의 사내 그룹은 애자일이나 소규모 조직으로 조직의 민첩함과 의사결정의 신속을 최고로 지향하는 주의 입니다. 하지만 사회 초년기에 느낀 과거의 회의는 하나의 관행이었습니다. 조직내의 다수 사람이 모여 안건을 의논하고 문제를 해결 결과를 도출하는게 목적이었는데 언젠가부터는 형식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출근하여 회의 한다 모이고 준비되지 않은 안건을 던져주고 당장 방법을 구색하라 미션이 떨어지면 발언도 없고 생각하는척 딴짓만 하다 말다 진행이 지지부진했습니다. 시간이 흐른뒤 업무를 보러 가고 오후 회의까지 해결 방법 도출을 위한 프리젠테이션 준비 하기 시작했습니다. 업무와 프리젠테이션 정해진 시간에 해결해야 하므로 그당시 야근은 당연했습니다. 수직적인 조직문화가 강하고 필요외의 강요가 많아 나와서 개인일을 하지만 그 당시 제일 필요없던 것 중에 하나가 회의라고 느껴질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회사라는 조직체속에 조직원으로써 협업은 당연한 것이고 그 과정에 회의는 필수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회의의 본질부터 생각해 볼필요가 있습니다. 여러 가지 체크리스트로 시작하는 회의 개념부터 왜 체크리스트의 단점이 나타났나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저자는 문제해결과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25분 회의를 제시합니다. 모아온 문제 상황인식의 관찰 12, 제시한 의견을 바탕으로 방법 도출하는 집중의 시간 8, 이제 과정을 바탕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가 방향의 실행의 5, 25분이 필요하다 합니다. 60분이나 되는 시간을 하면 시간엄수를 못하는 사람, 안건도 모르고 참석, 딴짓하고 집중력의 저하가 발생하므로 최선의 최소의 시간이 25분인것입니다. 한정된 시간에 명확한 주제로 긴급을 요하므로 문제를 해결하면 자신감과 성취감은 높아지고 업무시간의 여유, 빠른 일처리로 여가의 활용이 가능해집니다. 물론 이 25분을 정확히 행하긴 위해서 일정시간이전 안건제공 시간엄수 회의전 역할별로 진행하는 정해져야 겠습니다. 유수의 대기업들이 실적으로 보여주고 우리의 사소한 과정변화만으로 회사와 개인에게 윈윈되는 회의방법, 계획된 25분이 여러분의 더 나은 직장생활을 이끌어 줄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