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입문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사이구사 미쓰요시 지음, 이동철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믿는 종교의 근원은 본질을 어디일까? 단순한 믿음과 사상으로 도의 극의에 다를려고 하는 것인가 아니면 현실에 어려움을 종교라는 이름에 기대어 의지하는 것은 아닌가에 시작된 나의 종교 불교. 종교적의식을 행하는데 어려움이 없고 늘 소망에 희망에 기도를 하지만 불교에 빠지면 빠질수록 마음이 평온해지고 정리가 되는 것 같아 그 불교라는 근원을 알고 싶어 불교입문을 읽게 되었습니다. 기원전 5세기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장구한 역사를 가진 불교를 한 마디로 압축할 수는 없지만 전래와 전파되는과정에서 지역과 민족에 맞게 전승되는 불교만의 특색을 알수 있게 되었습니다. 불교의 무상(모든 집착을 떠난 경지)을 논하면서도 개인의 무상과 한국포함 아시아의 무상의 영혼은 한 갈래에서 나와 그 기원과 근본은 같은 바탕으로 시작합니다. 고타마 싯탓다의 깨달음의 설교를 바탕으로 시작한 불교는 그의 가름침을 널리 깨우쳐 인도에서 초기 불교의 마음,,무상,무아,중도,사제를 기본 바탕으로 부파불교, 대승불교, 밀교 등으로 다양하게 전개되었으며 아시아 각국으로 전파가 됩니다. 아시아 각국에서는 남전불교 북전불교로 분류가 되나 근본은 같으며 우리는 북전불교 중국을 통해 불교가 이입되게 됩니다. 신라의 삼국통일에 국교로 제일 빛을 발하고 눈부신 불교의 발전을 이루어냅니다. 고려시대에 11-12세기에 송나라에 갔던 의천이 천태를 가져와 신편제종교장목록의 경전 목록을 만들고 지눌은 6-7세기 신라시대의 선을 바탕으로 조계종을 창시하는등 불교의 전성기시대를 이룹니다. 전성기를 대변하듯 고려대장경이라는 대사업을 특필하며 현재까지 전해지는 목판은 한역불전의 보고가 됩니다. 조선시대에는 유교에 밀려 폐불을 제창하기도 하지만 현재까지는 조계종필두로 원불교 18개 종파 승려 1만 신도는 500만명이라는 현재의 불교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우리가 들어볼만한 불교관련 용어를 문헌적으로 고증하 부분 명확하게 해석해주며 불교전체를 시대 지역 문화별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이 책은 불교에 대한 근간과 정신 이념을 새롭게 정립해주는 불교의 사기(史記)라 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