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된 이상 마트로 간다 - 엑셀만 하던 대기업 김 사원, 왜 마트를 창업했을까?
김경욱 지음 / 왓어북 / 2019년 9월
평점 :
품절


 

 

세태의 직장에 대한 느끼는 관념이 틀리다 하지만 이는 시대 관념이 아니라 지극히

정상적인 세대간의 문화 차이인거 같습니다. 세대 구분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의 밀레니엄세대들은 직장에 대한 관념과 종속에 대한 생각이 많이 틀린 것 같습니다. 입사한 그들은 욜로와 과거의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건강한 직장생활을 꿈꾸지만 현실의 직장문화는 그렇지 않습니다. 왜냐면 과거의 경험과 위치에 있는 중간층들은 자신이 받은대로 원하는게 당연하고 그렇게 받기를 원하기 때문에 자신의 생각,의식을 강요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언제나 퇴직을 꿈꿉니다. 자신의 창의력과 욕구를 바탕으로 더 좋은 삶과 모습을 찾을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현실금전적인 생활의 테두리안에서 벗어날 수 없는 우리는 꿈으로만 생각할뿐 실처하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그 이상을 실연하기엔 우리에게 부족한 것은 디테일한 계획과 준비 실현을 위한 큰 의지일뿐 저자는 설명합니다. 준비된 스타트업 유니콘 투자의 큰 회사가 아닌 현실적인 현금 창출 위해 세전계산 주변상권 영업이익,유동인구 구매까지 계산하며 마트 창업을 합니다. 단순 동네 소공상민이 아닌 사회적기업의 이념을 모방하며 중소기업이상으로 마케팅과 이익환원에 나섭니다. 시작과 과도기에 있는 저자의 마트이지만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줍니다. 블루오션의 지역마트에서 자신만의 마케팅과 사회적기업마인드로 고객을 대하는 고객 우선주의의 경영입니다. 기본을 알면서 못하는 소소한 행동들 준비된 사람이 아니면 퇴사는 불가하고 실패한다는 동료들의 과정도 많이 보여줍니다. 현실에 대한 이상과 만족보단 과정과 만족에 충실하고 싶으신 분들은 과정의 전반적인 내용 디테일하게 수렴하려 준비 행동하여 창업이던 자신분야에서 좋은 결과 얻기를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