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스케일 - 앞으로 100년을 지배할 탈규모의 경제학
헤먼트 타네자 외 지음, 김태훈 옮김 / 청림출판 / 2019년 10월
평점 :
절판


    

살아온 우리의 과거 경제는 혁신과 번영보단 규모의 경제를 추구하면서 다양한 사람과 모두의 번영을 꿈꿔온 경제 정책이었다. 그런는 중에 변화하는 현대의 트렌드는 공유와 플랫폼의 탈규모화로 우리가 접하지 못한 인식중에 우리도 모르게 변화해 가고 있다. 20세기 이전의 경제 발전이 규모의 산업형식에 발전에 치중한 수치의 경제였다면 지금은 불필요한 기회비용을 줄이고 자신만을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현재의 경제, 추구하는 경제 탈규모화. 한 세기의 산업혁명이 많은 것을 바꾸는 만큼 인공지능, 유전체학, 로봇공학, 3D 프린팅 등 주요 신기술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우리의 의식과 습관은 많은 변화를 요구하며 격돌하는 변화기에 서 있다. 기존의 경제는 추구하면서 원하는 것이 편의와 기회비용축소인 플랫폼이 경제변화의 혁신의 주인 만큼 우리의 삶도 문화도 변해간다. 대기업의 대량 생산과 대량 유통, 매스마케팅은 오히려 혁신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기업의 사회적 대응에 느린 대형 공룡만큼 치부되며 쇠퇴해가고 작은 민첩한 기업들은 소비자의 기호 변화를 빠르게 캐치해 완벽한 틈새시장을 창출해내며 진화하고 생존해간다. 소유의 가치에서 공유의 플랫폼으로 인식이 변환하는만큼 물질적인것에 의미를 두지 않으며 대량생산의 좋은 제품 보단 개인의 취향에 맞는 소량생산 다품종에 환호하는 시기가 왔다. 규모의 생산 경제에서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생산제조 마케팅을 하는 시대가 온 만큼 우리는 그 트렌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말 그대로 탈규모화는 생산위주의 산업 소유를 탈피하고 고객을 생각하는 서비스의 위주의 생산을 대변한다. 다양한 플랫폼이 생기고 이를 제시하듯 경제를 이끌어가는 것이 이들을 대변하는 입장이며 우리는 생존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과 생산폼을 우리는 항상 반영하며 고려해야 겠다. 생활의 니즈와 우리의 요구가 충족하는만큼 다양한 과정 에너지, 의료, 교육, 소비수단, 시청미디어등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우리는 이 트렌드에 맞추어 사업방향과 우리의 삶을 결정할 미래를 대비 해야겠으며 사회적영향속에 대처할 준비를 해야 겠다. 살아남는 기업의 인식 바탕엔 주체인 사람이 있다. 기업만이 대비하는 사회경제준비가 아닌 트렌드 파악하여 영향을 주는 생산소비주체로서 우리는 다양한 매체를 읽고 준비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