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실에서 만난 붓다 - 불교 명상과 심리 치료로 일깨우는 자기 치유의 힘
마크 엡스타인 지음, 김성환 옮김 / 한문화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으로 스트레스가 만연한 우리 현대인은 그로 인해 많은 질병과 마음의 여유 없이 살아갑니다. 한 번은 자신을 돌아보고 마음을 추스르는 과정이 필요한데 행할 시간과 방법도 모르기 때문에 늘 간과하고 지나칩니다. 티비를 보면 고명한 유명인이나 명사들이 차와 명상으로 자기 자신을 다스리는 일상이 소개 되곤 하는데 우리가 행하기엔 어렵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쉽게 문을 두드리는곳은 심리 치료, 정신의학상담등입니다. 심리치료등을 통해 우리는 명상과 같은 효과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뉴욕에서 심리 치료를 행하면서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임상실험을 한 마크 엡스타인은 정신과 의사로써 환자들을 대변하며 불교방식에 관한 심리 치료에 관심이 많았기에 그 의원이 비슷하다 했습니다. 팔정도(중생이 고통의 원인인 탐() ·() ·()를 없애고 해탈(解脫)하여 깨달음의 경지인 열반의 세계로 나아가기 위해서 실천수행해야 하는 8가지 길 또는 그 방법)를 바탕으로 명상하는 것이 심리치료에 효과적이며 선, 중도, 해탈의 과정은 아니지만 일반인이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고 치유하는데 제일 근접한 사상과 치료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그가 의미를 부여한 붓다라는 어원은 궁극적인 진리를 깨달은 사람. 우주의 본성이나 참모습을 깨달은 사람. 모든 번뇌를 소멸한 사람으로 자신이 처한 상황에 수긍과 인정으로 제 삼의 시선으로 초탈하여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객관적으로 대하는 의미의 사람을 뜻합니다.

그럼 불교의 명상과 자신의 고뇌상담 바탕으로 우리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사람다운 의미의 삶을 살수 있을까요? 확신의 증거와 답은 없지만 그에 비슷하다는 경험을 할수 있다는 것은 저자의 피드백입니다. 올바로 보는 것. 올바로 생각하는 것. 올바로 말하는 것. 올바로 행동하는 것. 올바로 목숨을 유지하는 것. 올바로 부지런히 노력하는 것. 올바로 기억하고 생각하는 것, 올바로 마음을 안정하는 것이다. 현실세계에서 적용되고 항상 부딪히는 팔정도는 우리 주변에 늘 산재해 있습니다. 존재와 의미 속에 명상의 과정을 생각하며 자신의 삶을 한 번 되돌아 보기에 좋은 좋은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