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장의 바닥
앤디 앤드루스 지음, 김은경 옮김 / 홍익 / 201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의 잠재력에는 한계가 없다.-로버트 크리겔 & 루이스 패틀러

하지만 우리는 한계이상을 경험 해본적도 경험을 하려 한적도 없습니다.

사회적인 통념과 교육적인 이념으로 몸에 밴 관습이 우리의 한계를 결정지어버리는 것은 아닌지 모르지만 저자는 다른 경험에서 그 이유를 묻게 됩니다. 어릴 때 우리는 특별한 규칙이 없어도 서로가 만든 경쟁같은 심플한 놀이에서도 늘 재미를 찾게 됩니다. 저자도 수영장에서 점프하여 팔을 뻗어 누가 높이뛰나로 시작하는 게임 돌핀게임은 호기심을 유발하는 게임이나 항상 피지컬이 우세한 친구 아론의 승리로 끝납니다. 하지만 케빈이라는 친구가 발상의 전환을 하여 수영장 바닥까지 잠수하여 도움닫기로 높이 떠올라 새로운 기록을 갱신하기에 이릅니다. 항상 우승을 하던 아론은 케빈의 방식에 대해 의구심과 형평성을 제기 하지만 그는 케빈의 방식을 써서 다시금 승자에 오릅니다. 단 한번뿐이었지만 이 승리는 아이들 가슴에 깊이 남아 오랜 즐거움과 추억으로 남습니다. 평생의 즐거움 이긴 하지만 저자는 의구심을 갖습니다. 왜 이겨볼려는 생각조차 사고 발상의 전환을 시도 해볼려는 조차 안했을까 하고요. 우리는 사회적인 통념에 맞추어 우리와 다르면 배타하고 갖힌 틀안에서만 해결하려 촉구합니다. 하지만 그 틀을 모두가 벗어나오면 틀안에 있는 사람이 이상하게 느껴지는 만큼 우리가 속한 사회에대한 구속성은 큽니다. 모든일에 성공하기 위해선 준비와 노력도 물론 필요하지만 그 준비와 노력이 정해진 틀안에서만 생각되어 한정적인 준비와 노력이 아닌가 우리는 늘 의심해 봐야 합니다. 예를들어 잔신의 생각 사색,사고조차 남들이 보면 멍하다는 말을 듣는데 하지말라는 말을 듣고 멈추게 됩니다. 이는 사고를 멈추게 하여 생각의 폭을 한정적으로 만들며 남들의 틀에 자신을 가두게 됩니다.

저자는 사회의 이단아, 문제아 소리를 들으면서 행동하라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누군가가 말해온 말하는데로 수동적으로 생각하는게 아니라 왜 그래야 하나?누가 그렇게 한정지었지? 작은 틀을 깨어 더 크게 변화할수 있는 계기를 갖기 위해 쓴 책입니다.

책을 통해 작지만 시도 조차 안 한 생각 발상의 전환은 성공을 위한 계기가 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