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 -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 프레임 가이드
김종식.박민재.양경란 지음 / 지식플랫폼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살면서 다양한 매체를 통해 4차산업혁명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봤습니다.

4차산업혁명은 우리의 사회가 새로운 디지털 사회로 전환하면서 넘어가는 과도기이기도 하면서 새로운 문물 신시대에 접점이라는 것을 의미 합니다. 과거에도 산업혁명 경제혁명등 우리가 크게 기억할만한 변곡점들이 있었습니다. 그 시대 당시에도 우리는 새로운 문물들을 두려워하며 쇠퇴기라 했지만 새로운 시대 사회로 전환점이었으며 바로 빠른 적응과 번영을 누렸습니다. 4차산업혁명이라는 전환점에 앞서 우리는 다양한 전략과 시스템 네트워크를 적용하지만 이는 필요의식 부족과 국가규제라는 벽에 부딪혀 진일보한 기업으로 나가기 위한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이 책은 디지털사업체로 전환하기 위한 트랜포메이션 의의와 필요성 전반적인 그의 성공 사례에 대한 기업 소개 제시 방향 이상적인 미래를 그리고 있습니다. 급변하고 규모와 기획에 슬림함을 요구하는 사회인 만큼 우리는 기업체의 대표가 아니더라도 의식하고 인지 해야 합니다. 왜냐면 전문성과 트랜드를 아는 내가 존재해야만 이익을 창출해야만 기업이 존재 하기 때문입니다. 기업이 존재해야 일자리와 기반 주변시설 일자리가 창출되며 사회적기업으로 성장하여 국가에 세수 국존에 도움이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단기 집권의 정부는 민심 국익보단 포퓰리즘 장기집권에 편향하여 기업의 이익과 반대되는 의사 표명을 하고 기업규제와 표출을 위한 노조의 편을 들어 기업을 힘들게 하여 반기업 의사에 고용창출 저하에 국익 저하 민간세수로 확충을 하고 있어 기업이과 국민을 더욱 힘들게 하는 구조로 전향하고 있습니다. 책에서 제시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기업이 고용인을 줄이고 이익에 창출을 극대화 하겠지만 이로 인해 퇴출되는 고용인은 불만을 표출할것이 아니라 준비하고 다가올 시대적사회에 맞는 직업군을 찾아야 할 것도 제시 하고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기업이 세계경쟁시장에서 경쟁없이 쇠태 기업이 사라지며 그 제반비용을 잃은 국가는 그 기회비용은 모든국민이 전담 요구 하는 시대가 계속반 반복 순환될것이기 때문입니다.

트래스포메이션은 진일보하기 위해 필요 과정입니다. 하지만 그에 반해 희생과 손실도 존재 하겠지만 더 나은 대의 국가와 개인을 위해 생각해 볼법 합니다.

생각과 변혁을 꿈꾸는 사회 기업인이 아니더라도 한 번 읽으시고 사회적이슈가 되는 쟁점과 논질을 정확히 파악 기업의 바람직한 방향을 위해 힘을 주실수 있는 안목이 생길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