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전쟁의 승자, 누가 세계를 지배할 것인가? : 미국편 미중전쟁의 승자, 누가 세계를 지배할 것인가?
최병일 지음 / 책들의정원 / 201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국내의 시끄러운 사회,정치 뉴스보다 국외의 동향이 심상치 않다.

연일 뉴스에서는 미국과 중국의 무협협상이 결렬되고 서로에 입장에서 양보를 할 수 없다는 방침으로 보복적인 관세 부가를 지시하고 또 맞 보복 관세 부가로 응대한다.

어느때는 이해관계가 맞아 조정 협의라고 협상중이라고 뉴스가 나오다가 회담만 하면 결렬

보복 관세를 부가한다 말이 또 나온다.

지정학적리스크와 풍부한 자원 인재가 많은것도 아니고 대중 대미에 무역으로 사는 우리나라가 우리의 의지와는 상관 없이 주가는 폭락하고 물가는 급등 무역적자에 허덕인다.

 

어느 한 편의 손을 들어줄수 없는 입장에 있는 우리..우리는 우리가 놓인 우리의 포지션과

시작 발발원인을 알아야 앞으로 다가올 미중무역전쟁에 대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미중전쟁을 단순한 무역전쟁이라고 치부하기엔 정치적 이념적으로 많은 의미를 내재하고 있다. 정치적인 의도하에 이루어진 면도 있고 미국의 대통령제도에도 그 그간이 있기 때문이다. 전 임 정권시절으로부터 중국의 WTO 가입은 종용되어 왔고 이를 바탕으로 자국에 이익이 되면 이해관계를 만들려 했다. 하지만 WTO 가입이후 중국은 체제안에서 괄목상대 할 만한 성장을 이룬다. 이를 컨트롤 하려 했던 오바마 정부는 실패를 했고 그 안에서 중국은 성장

세계를 1위를 바라보게 된다. 경제위기와 고용불안정 내수시장 불안에 직면한 미국은 그 바통이 현재의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어지게 된다. 길지않은 미국의 대통령의 지배구조에 트럼프는 민심을 잡기 위한 공약 슬로건을 내세운다. 스트롱 아메리카..경제적인 우위에 서서 고용안정 미국인 자국민만의 입장을 고수 하겠단 것이다. 트럼프는 태생이 정치가가 아니다. 자기가 이익을 볼수 있는 입장에서 레버리지 가지고 딜을 하여 자기가 원하는 것을 얻는 사업가이다.

그는 기존의 관례와 매너를 무시하면서도 이익을 취한다. 그래서 그가 취임후 중국을 압박하기 위해 내세운 것이 WTO가입이후에 중국의 행보이다. WTO가입후 불공정거래, 기술탈취,사이버안보,지적재산권 탈취등 잘 못된 행태에 대해 수정 이행 하라 권고하였으나 현재까기 이루어지지 않아 관세보복이란 상황으로 치닫게 된다.

 

하지만 시진핑도 기존의 정치입장을 위해서는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일수 없다.

대국굴기의 세계 제 1위 경제국가를 꿈꾸는 시진핑은 장기집권을 위해 중국몽을 위해

강경하게 대응 할 수 밖에 없다. 양적인 성장을 넘어 기술굴기 질적인 성장을 꿈꾸는 중국.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관세보복으로 나 설 수 밖에 없다.미국의 요구에 대해서는 수용하는 듯 하면서도 더 디테일한 요구를 하는 중국. 앞으로 성장 할 인민들에게 보여지기 위해 절대 한 치도 양보할수 없다는 입장이다.

    

협상속에서도 서로 이익을 위한 정치 행보가 진행중이며 사소한 것 같지만 캐나다에서 화웨이의 최고재무책임자 멍완저우의 구속은 미중전쟁사이의 치열한 공방이 오감을 보여주는 예이다. 재선을 위해 다시 한 번 전쟁이라도 불사르겠다는 트럼프와 확고한 자리매김위해 양보 할수 없는 시진핑 사이에서 우리는 어떤 자세를 잡고 응대 해야 하는것일까?

 

우리나라의 포퓰리즘 정치적성향으로 우리는 한 쪽의 손을 들어주다 사드보복이라는 보복을 받았으며 그 결과는 아직 진행중이다. 보여주기식의 정치 보신을 위해 정치가 국가를 벼랑끝으로 내 몰으며 경제위기에 직면했다. 현실에서 우리는..

국민의 의식 하나만으로 나라를 바꿀수는 없지만 그래도 의식의 올바름 통해

나라의 득과 실을 알 수 있는 견해 포지션을 가지기 위해 이 책을 읽어보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