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테소리가 말하는 몬테소리 교육 - 100년 역사가 증명한 최고의 교육법
마리아 몬테소리 지음, 오광일 옮김 / 유아이북스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대로 쓴 글입니다*


출산 전에는 관심이 전혀없던 아이교육이었고, 출산후에도 유치원가기 전까지는 공부?애가 무슨 공부. 책?애가 무슨 책이야 라고 할 정도로 아이의 잠재력및 가능성을 철저히 무시하던 엄마였다. 물론 지금도 공부는 셀프 라는 취지에 변함은 없으나.. 아이가 8살이 된 지금은 직접 공부는 못시키더라도 공부할 수 있는 판은 깔아줄껄 그랬나 하는 생각이 든다.

공부위주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하면 몬테소리가 유명했는데 어린이집 고를때는 일부러 몬테소리 하는곳을 피했었다. 시골도 아닌데 아이가 어디서 뛰어 논다고 굳이 공부위주가 싫었던 그 선택.초등학교 보내보니 후회가 된다. 일단 습관이 전혀 안잡혀있어 공부의 유무를 떠나 책상에 앉는 모습조차 못보니..이건 몬테소리를 안해서가 아니라 엄마인 본인이 자초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각설하고 몬테소리가 직접 아이들을 가르치던 시절은 지금처럼 모든게 공장화 되어 척척 만들어내는 시대가 아니었기에 일일이 글자판을 만들고 사포질을 하여 아이들이 만져서 글자를 알게했다.단어 활동을 통해 물건을 찾아오고 글자판을 이리저리 끼워서 새로운 단어를 만들고. (한글이 아닌 영어 이기에 자연스레 전치사를 알고 과거동사를 알아서 문장을 만들어 가는 과정을 알고 싶었으나 모국어니까 자연스레 습득하는거려니 한다.) 신문이나 광고지에서 단어를 찾아 읽고 문장을 읽어내는 모습에 부모가 놀라워 하는것은 만변의 진리였다. 체계적인 모습으로 교육을 하고 글자판,도형의 크기,입체도형 등의 자료가 현재까지 유지 되기에 몬테소리 라는 사람의 이름이 똑똑한 공부법이라는 고유명사처럼 명명됐을까? 태초의 시작은 아이들에게 자연스럽게 공부의 즐거움을 알려주자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몬테소리가 교구며 교육이며 다 비싸다. 교구는 똑같을지라도 가르치는 선생님의 역량과 마음가짐까지 똑같이 대물림 됐다면 우후죽순처럼 흔하디 흔한 학원은 안됐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책의 한 일례로 말도 못하고 울기만 하는 아이가 학교에 온다. 아이는 쌔근쌔근 포대기에 쌓여서 잠을 자는데 이 아이를 통해 존엄성을 가르치는 부분이 참 인상깊었다. 조금만 커도 아이들은 아기는 아무것도 못해, 우리가 더 잘해 라는 선입견과 행동이 나타나는데 몬테소리 선생님은 누가 이 아이보다 더 작게 숨을 쉴 수 있을까요?누가 이 아이보다 우아하게 움직일 수 있을까요 라며 아이의 월등함을 할려준다. 학생들은 아이를 따라하기에 숨이 거칠고 동작이 크다. 자연히 아이가 우리보다 더 잘하잖아 라는 생각이 생기며 엄지척을 한다. 생각지도 못한 교육방법!!나는 그저 아기 깨니까 조용히 해, 위험해 ,오지마 ,안돼 소리밖에 안한것같은데. 아이를 관찰하게 하고 아이다움의 모습을 인정하게 하는 것. 아주 인상깊었다.



#100년역사#최고의교육법#몬테소리#몬테소리교육#유아이북스#오광일옮김#마리아몬테소리

#책과콩나무#도서리뷰#서평#알라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