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다이스가 범법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나는 폭력에 초점을 맞추고 싶다. 브랜다이스에 따르면 "범죄는 전염된다. 정부가 범법자가 되면 법을 경시하는 풍조가 생기고 만인이 만인의 법을 들고 나오면서 무질서가 판을 친다." 브랜다이스의 말을 바꿔 말하면, 폭력은 전염된다. 정부가 살인을 범하면 비폭력을 경시하는 풍조가 생기고 만인이 살인자로 나서면서 무질서가 판을 치고 극형을 통해서 수호하겠다고 되뇌던 ‘법질서‘ 그 자체가 무너진다. - P163

오늘날 미국에서 이민, 특히 멕시코계 미국인의 이민을 놓고 벌어지는 갈등은 이런 수치 문화의 신분 경합이 펼쳐지는 원형경기장이다. 그러나 주제는 늘 똑같다. 수치심을 느끼지 않기 위해 자부심을 느낄 필요가 있는 사람들이 같은 인구 집단에 있는 일부 사람들을 어떻게 열등한 존재로 몰아가면서 업신여기고 그들에게 우월감을 느끼는가다. 대대적인 ‘버본 전략‘이다. 불행하게도 이것은 폭력을 낳는 방안이기도 하다. - P170

여태까지 나는 수치심이 가져올 수 있는 병폐라든가 부적절한 영향을 강조했지만, 수치심은 적절한 기능을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두고 싶다. 수치심은 우리가 열등감을 이겨내고, 실수를 바로잡고, 성숙해지고, 발전하고, 배우고, 우리가 자부심을 가질 수 있고 남들로부터 존경심을 끌어낼 수 있는 일을 성취하도록 자극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물론 그런 일은 사람들이 교육이라든가 건설적이고 의미 있는 일을 통해서 수치심을 털어버리고 긍정적인 자존감을 얻을수 있는 비폭력적 수단에 접근할 수 있어야만 가능한 일이다. 그런 조건이 마련되었을 때 사람의 정신 건강을 재는 척도의 하나는 수치심을 느끼더라도 파괴적 폭력을 휘두르는 것이 아니라 그런 수치심을 성장과 성숙, 건설적 성취의 발판으로 삼으면서 자긍심을 느낄 때까지 수치심을 견뎌내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배울 기회와 일할 기회를 얻지 못할 때 사람들은 자신이 맛보는 수치심을 없애버릴 수단으로 유일하게 남은 것은 폭력뿐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 P177

우리는 변하지 않으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없다. 그리고 우리가 변하려면 우리가 지닌 사고, 감정, 행동의 낡은 방식은 한계가 있음을, 부적절하거나 잘못되었거나 열등함을 인정하고, 이런 낡은 것들을 버리는 대신 우리가 온전하고 좀 더 알찬 삶을 꾸려 갈 수 있게 해주고 우리가 의지하고 또 의지가 되어주는 다른 사람들도 온전하고 좀 더 알찬 삶을 꾸려갈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사고, 감정, 행동의 방식으로 바꾸어야 함을 인정해야 한다. 그러기 위한 한가지 전제 조건은 수치심을 느끼더라도 수치심을 줄이는 수단으로 폭력에 기대지 말고 수치심을 견디는 힘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그럴 때 수치심은 야심과 성취의 발판이 되고 지식과 실력을 키우는 자극원이 된다. - P1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