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 게바라 평전 역사 인물 찾기 10
장 코르미에 지음, 김미선 옮김 / 실천문학사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기 전까지 ‘체 게바라‘ 라는 인물에 대해서는 거의 아는 게 없었다. 너무 많이 들어온 이름이라 마치 우리나라 위인처럼 느껴지기까지 했지만, 내가 아는 거라고는 ‘혁명가‘ 정도였다. 이번 기회에 제대로 알아보고자 책을 집어들었다.

9일 정도 체 게바라와 함께 하면서 ‘대단한 사람, 하지만 철저한 이상주의자‘ 라는 생각을 했다. 그는 의대 박사였고, 많은 책을 읽고 또 무엇이든 배우려고 하면서 여러 분야의 지식들을 갖춘 지식인이었지만, 동시에 사회주의자로서 게릴라전을 통한 혁명을 통해 공산주의적인 이상을 이루려 했던 군인이기도 했다. 의사로 살면서 편안하고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도 있었겠지만 스스로 안락함을 걷어차고 광야로 나왔고 여행을 통해 만난 인디오들이나 흑인처럼 인간의 존엄을 누리지 못하는 소수자들에게 더 관심을 가진 인물이었다.

체가 죽고난 후 20여 년이 흘러, 체가 신봉하던 공산주의 사상은 공샨주의 체제를 유지하던 국가들의 몰락으로 실패한 사상이라는 것이 드러났다. 공산주의는 인간의 이기주의적인 면모를 간과했다. ‘공동생산, 공동소비‘를 추구하며 인간의 욕심을 무시했던 공산주의는, 반대로 인간의 욕심을 부추기던 자본주의에 굴복하고 만 것이다.

하지만 공산주의를 신봉했던 체가 인간의 이기주의적인 면모와 욕심을 모르지는 않았다. 다만 그는 이것을 극복가능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 책에 나오는 글과 체 게바라의 ‘새로운 인간만들기‘ 프로젝트가 그걸 잘 보여주는 부분이다.

‘사실 마르크스주의적인 심리학은 제대로 발전하지 못했다.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이 부분을 간과했었다. 체는 그 점을 알고 있었고 또 강조하기도 했다.‘(p459)

아쉬운 점은 체가 자신의 정치, 경제적인 철학을 쿠바에 접목시키려고 하다가 중간에 게릴라전으로 노선을 변경하는 부분이었댜. 어떤 이유로 체가 노선을 바꾸었는지는 나와있지 않다. 다만 관료로서 자신의 철학을 쿠바라는 국가에 접목시키는 과정에서 정치적, 외교적, 환경적인 한계를 느끼면서, 과거 그가 군인이었을 때 게릴라전을 치르며 수많은 승리들을 맛보던 순간에 대한 달콤한 기억들이 다시 그를 광야로 이끌었던 것이 아니었을지.

그가 다시 게릴라 생활로 돌아갔을 때의 시점이나 상황에도 아쉬움이 남았지만 따로 쓰지 않기로 한다. 역사에 가정이란 무의미한 것이니까.

읽는 시간은 좀 오래 걸렸지만 읽기를 잘 했다고 생각했다. 혁명가 체 게바라에 대해서도, 그리고 왜 그가 아직도 많은 이들에게 존경을 받으며 이름이 입에 오르내리는지도 알 수 있는 시간이었다. 해마다 10월 8일이 되면 체 게바라를 떠올려보기로 생각하면서 글을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