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학자의 식탁에서 고기가 사라진 이유 - 고기를 굽기 전, 우리가 꼭 생각해봐야 할 철학적 질문들
최훈 지음 / 사월의책 / 2012년 12월
평점 :
철학자의 식탁에서 고기가 사라진 이유 - 철학, 채식을 말하다
그동안 많은 채식주의를 소개하고 권장하는 책들은 많이 있었다.
그리고 이런 책들의 대부분은 채식을 감정적 호소 혹은 건강 상의 이유로 옹호하는 경우가 많았다.
동물이 도축되는 과정에서의 잔인함이나 채식이 건강에 좋으니까 채식을 옹호하는 책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오늘 소개하는 이 책에도 물론 이런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 책의 핵심은 감정적인 채식주의나 건강 상의 채식주의가 아니라
바로 '윤리적인 채식주의'를 주장하고 있다.
저자인 최훈 교수는 철학자답게 채식을 해야하는 이유를 윤리적으로(논리적으로) 정당화하고 있다.
저자의 논지는 비교적 간단하다.
채식을 해야하는 이유는 인간이 육식을 하는만큼 동물들(인간을 제외한)이 고통받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인간의 권리가 존중받야아하는 것처럼 동물도 권리를 인정받아야하고
이것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바로 종차별주의이기 때문이다.
동물의 고통이 바로 채식을 해야하는 결정적인 이유이기 때문에
저자는 아주 제한적인 육식만을 인정하고 있다.
동물을 공장식 사육이 아닌 방목의 형태로 키우다가 고통없이 죽일 수 있는 한에서만(혹은 찰나의 고통만을 줄 수 있다면)
윤리적으로 육식이 허용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이런 육식을 하기 위해서는 마당 있는 집에서 닭을 키우는 것 이외에는 방법이 없다.
소나 돼지를 방목으로 키울 수는 있어도 고통없이 죽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그러므로 결론은 채식을 하자는 것이다.
채식을 통해 동물의 권리도 존중하면서 식량 문제도 기아 문제도 건강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 저자는 어려운 채식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단계별로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어서
채식주의에 관심은 있지만 어떻게 해야할지를 모르는 사람들에게도 유용할 것같다.
개인적으로도 MBC에서 방영된 '고기 랩소디'라는 다큐를 통해 몇달동안 잠시나마 채식을 실행한 적이 있었지만
결국은 의지의 나약함과 방법의 미숙함으로 인해 포기한 경험이 있다.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채식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고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방법처럼
단계를 밟아 채식주의를 재도전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