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블로그 푸른도서관 22
강미 지음 / 푸른책들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년도 인간이다.’라는 작가의 외침은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작가는 똑같은 길을 걸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때때로 그걸 잊고 있음을 일깨워 준다. 그러고는 자식을 포함한 이 땅의 아이들에게 놀라고, 충격받고, 배신감을 느낀다고...

  나는 어떠한가. 일순간 돌아보니 나 또한 모순된 양면의 모습으로 살고 있었다. 교사로서는 방황하고, 갈등하고, 좌충우돌하는 아이들을 보며 안타까워하면서도 모범생의 길을 요구해 왔다. 그런데 엄마가 되어 모범생인 딸아이를 보며 답답해 했다. 여행을 가서 잠시 쉴때 조차 가이드 옆에서 쉬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아이의 모습에서 옛날 내 모습이 보여 씁씁했었다. 내 아이가 자라면서 주변을 둘러보지 못하고 정도로만 살것같은 안타까움에 속이 상했다. 나는 아이가 조금은 아프더라도 많이 부딪치며 세상의 여러 면을 볼 수 있기를 바란다. 우리가 현실의 굴레에서 일탈을 꿈꾸는 이유도 이것이리라.

 

  이 책의 네편의 단편에 나오는 주인공들은 이런 청소년에 대한 일반적인 잣대에서 벗어난 삶을 살아가는 아이들이다. 이해받지 못하는 아이들은 힘들어 하지만 어른보다 더 성숙한 모습으로 난관을 극복하려고 노력하기도 한다. 하지만 수희처럼 자신을 버리는 길을 선택을 하는 아이도 있다.

  개인적으로 <지귀의 불>이 가장 재미있었다. 선생님에 대한 자신의 사랑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수희는, 선덕여왕을 사랑하다 불귀신이 되어 버린 지귀의 사랑처럼 자기 자신과 그를 모두 태워 버릴 불이 되고자 했다. 누구나 한번쯤 거쳐가는 사춘기의 과정일텐데 자신마저 불태워 버리는 수희가 많이 안타까웠다. 

  또 <사막의 눈기둥>은 편지  형식을 이용하여 주인공 창우와 민준의  심리를 뛰어나게 묘사하고 있었다. 집안의 배경과 그 배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형성되는 성적의 차이로 갈등하는 사춘기 소년들의 모습이 참 매력적으로 그려져 있다.

 

  언제부턴가 해피엔딩의 소설만을 좋아하던 내가 너무 건전한 결말,  쉽게 해피엔딩이 되어 버리는 결말에 매력을 잃기 시작했다. 인간의 삶이 그러하지만은 않음을 깨닫게 되면서 부터였으리라. 또한 일탈의 매력을 느끼면서 부터였겠지. 그래서인지 이 책의 범상치 않은 결말이 더욱 매력적으로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