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을 리뷰해주세요.
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 - 상처에서 치유까지, 트라우마에 관한 24가지 이야기
김준기 지음 / 시그마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씻을 수 없는 상처, 트라우마에 관한 이야기

저항할 수 없는 폭력에 노출 되거나 물리적인 폭력은 아니더라도 자존감을 심각하게 훼손당하는 일을 경험하게 되면 우리는 '트라우마'라는 심리적 상흔을 입게 된다. 어떤 식으로든지 트라우마를 가지게 되면 좀처럼 상처의 충격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해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내 의지와 상관없이 겪게 되었던 아픈 상처가 또 다른 상처를 야기하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트라우마가 형성되는 가장 일반적인 경우라 할 수 있는 어린 시절 받았던 학대나 가족이나 친척으로부터의 성폭력은 개인의 일생에 커다란 상처를 남기며 원만한 인간관계를 방해한다. 또한 자살과 같은 극단의 선택을 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토록 위험한 트라우마, 과연 영화 속 주인공들은 어떻게 극복했을까.

<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은 24편의 영화에 등장하는 트라우마 사례를 보여주며 트라우마의 원인과 심각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반복되는 악몽에 절규하는 [밀양]의 신애, 예기치 못한 사건의 희생자가 된 [21그램]의 주인공들, 어린 시절에 당한 성폭행으로 자신을 죽음으로까지 내몰았던 [우행시]의 유정 등등 책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그 누구도 감히 치유와 치료를 말할 수 없을 만큼 엄청난 트라우마를 입은 사람들이다. 복수의 칼을 쥐어보거나 자신을 방치하는 일, 혹은 고통에 못 이겨 스스로 삶을 포기하는 게 상처 입은 그들이 생각하는 최선의 방법이었다. 누구도 도와줄 수 없다는 확고한 신념 속에 자리한 내면의 깊은 상처, 결국 그들은 보통의 삶과 유리된 채 살아야 하는 것일까?


영화는 심각한 트라우마를 안고 있는 인물들을 다루고 있지만 결국 말미에 가서는 극복의 의지를 보여주거나 치유의 시도를 내비치는 장면으로 마무리된다. 물론 [미스틱 리버]의 경우처럼 극복하지 못하고 더 큰 트라우마를 양산한 채 끝나버린 영화도 있지만 대다수 영화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던지며 막을 내린다. 영화에서의 트라우마 극복과정을 보여줌과 동시에 저자는 조심스럽게 실제적으로도 도움이 되는 방법들을 제시한다. 그래서 증후에 대한 설명과 병리적인 해석은 트라우마의 정체를 파악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트라우마는 치유가 필요한 마음의 상처라는 것, 그래서 어떤 식으로든 치료가 필요하다는 사실은 이 책이 건네는 가장 중요한 메시지일 것이다.


24편의 영화 속 주인공들 못지않게 심각한 트라우마를 안고 있는 사람은 안타깝게도 우리 주변에 비일비재하다. 특히 가정폭력으로 인한 어두운 기억과 고통스런 상처를 그저 숨기기에 급급하며 평생 안고 가는 이들이 많다고 들었다. 부실한 사회 안전망과 주변 사람들의 쉬쉬하는 분위기는 트라우마를 안고 있는 이들을 더욱 고립시키게 된다. 어린 시절 사촌 오빠에게 당한 성폭행의 상처를 극복하지 못하고 자살을 선택한 어느 여고생의 사연은 사회 구석으로 내몰리기만 하는 트라우마 환자들의 비극을 대변하는 예가 아닐 수 없다. 누군가로부터 원치 않는 고통을 받는 일은 없어야겠지만 고통을 받았다면 마땅히 치유 받아야 한다. 그 치유의 시작은 개인의 의지일수도 있고, 사회적 배려일수도 있다. 중요한 건 이러한 인식이 널리 퍼져 트라우마로 인한 깊은 수렁으로 자신을 내몰지 않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