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에서 온 남자, 도쿄에서 온 여자>를 리뷰해주세요.
뉴욕에서 온 남자, 도쿄에서 온 여자
권진.이화정 지음 / 씨네21북스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방인들의 눈에 비친 서울의 모습

<뉴욕에서 온 남자 도쿄에서 온 여자>는 서울이란 시공간 속에 살고 있는 외국인들의 솔직담백한 서울얘기가 담긴 책이다. 일과 결혼 등의 이유로 서울에 머무르며 서울의 정취를 만끽하고 있는 그들은 지방에 살고 있는 나보다도 더 서울의 본모습을 잘 알고 있었다. 세계에서 손꼽을 만한 거대도시이자 한 나라의 모든 게 집중되어 있는 도시, 서울. 과연 그들이 느끼는 서울은 어떤 곳일까?

책 속에 등장하는 여섯 명의 외국인들은 인터뷰 형식으로 자신이 어떻게 서울에 오게 됐으며 서울에서 무엇을 보고 느꼈는지 솔직하게 이야기한다. 그들이 서울에 오게 된 이유는 그들의 국적만큼이나 제각각이었다. 하지만 빠르게 '변해가는 도시' 서울에서 느끼는 아쉬움만큼은 공통된 것이었다. 그들의 말대로 서울은 무분별하게 오로지 '새것'만을 쫓아 개발에 혈안이 되어 있었다.

옛것의 고풍스러움과 세월의 흔적, 눈에 보이는 시간의 기록들은 박물관에 박제되어 있거나 관광용으로 포장된 채로 남거나 아님 대부분의 경우처럼 헐리고 부수어졌다. 재개발, 뉴타운이란 이름 아래 서울은 늘 공사 중이며 여유 없고 삭막한 공간만 늘어나고 있다. 외국인이지만 한 명의 서울사람으로 살고 있는 그들에게 이런 개발붐은 반갑지 않다. 자신들이 좋아했던 서울의 매력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발전을 위한 개발은 분명 중요하고 필요한 일이다. 하지만 개발의 과정이 공공디자인이나 도시의 어울림, 과거 역사와의 공존에 심각한 위해를 가한다면 그것은 재고되어야 마땅하다. 낡고 오래된 것의 보존과 가치는 헤아리지 않고 무조건 새 건물을 짓는 개발과정 역시 옳지 못하다. 옛것을 없애고 새것을 짓는다고 과연 서울의 도시 브랜드가 상승할까? 지금의 서울시장이 줄기차게 외쳐대는 도시 브랜드는 중앙행정에 의해 강제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절대 아니다.

이방인인 그들이 한 목소리로 아쉬워하는 서울 이야기에는 지방에 사는 나 역시도 공감하는 내용이 많았다. 반면에 수도 서울만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흥미로운 이야기도 제법 눈에 띄었다. 그 중에 가장 인상에 남는 것은 이색 카페와 신선한 느낌의 예술 공간이었다. 역시 서울에 모든 게 집중돼 있다 보니 이런 참신한 공간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며 나중에 꼭 한번 가보리라 하고 마음에 새겨두었다.

서울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던 <뉴욕에서 온 남자 도쿄에서 온 여자>는 서울이라는 공간이 이제 우리나라 사람만을 위한 곳이 아니구나 하는 것을 새삼 알게 해 주었다. 서울을 아끼고 사랑하며 보다 더 멋진 도시가 되길 바라는 많은 외국인 '서울사람'이 있다는 사실을 이 책을 보고 나서야 깨닫게 된 것이다. 그들의 바람과 나의 희망처럼 우리나라의 수도 서울이 더욱 살기 좋고 멋스러운 곳이 되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